이클립스에서 프로젝트를 깃 원격 저장소로 Commit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1. 깃 원격저장소에 올리고싶은 프로젝트 -> 우클릭 -> Share Project를 클릭합니다.
2. 화면에 보이는 Use or create repository inparent folder of project 체크박스를 클릭합니다.
3. Create Repository 버튼을 클릭하여 로컬 저장소를 만듭니다.
4. Git Repositories를 엽니다.
5. Git Repositories에 로컬저장소가 잘 만들어졌는지 확인합니다. 위와같이 자신이 원격저장소에 올리고싶은 프로젝트가 있으면 로컬저장소가 잘 만들어진것입니다. 이제 원격저장소에 프로젝트를 올릴 차례군요.
6. 올리고싶은 원격저장소의 주소를 복사합니다.
7. Git Repositories탭에서 ▽버튼을 누르면 Remotes라는게 있을겁니다 Remotes우클릭 -> Create Remote클릭
8. Configure push 라디오버튼을 클릭하고 Ok버튼을 누릅니다.
9. 위에 보이는 빨간박스안 Change버튼을 클릭합니다.
10. 아까 주소를 제대로 복사했다면 Location은 자동으로 입력이 될겁니다. 밑의 Authentication은 자신의 깃 아이디 + 패스워드를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11. Save를 누릅니다. Save and Push를 누르면 더 간단하게 할 수도 있지만 버그가 많더군요. 번거롭더라도 Save하고 Push는 따로 진행해주도록 하겠습니다.
12. Commit과 Push를 할 차례입니다. Git Staging을 엽니다.
13. Git Stating탭의 좌측을 보시면 Unstaged Changes 와 Staged Changes칸이 보이실 겁니다. UnStaged Changes에 있는 소스들을 드래그해서 Staged Changes로 옮겨주세요.
14. 그런 뒤 Git Staging탭 우측의 Commit Message에 등록 메시지를 입력하고 Commit and Push 버튼을 누릅니다.
15. Next를 누릅니다.
16. Finish를 누릅니다. 만약 중간에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란이나오면 깃허브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17. Push가 완료 되었다면 위와같은 메시지박스가 뜰겁니다. 이제 원격저장소로 가서 프로젝트가 잘 업로드 되었는지 확인합시다.
18. 보시는바와같이 프로젝트가 잘 업로드 되었군요.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칩니다.
[Git] GitHub 레파지토리(Repository) 생성 & 소스 올리기
[Git] GitHub 레파지토리(Repository) 삭제
'ETC.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윈도우 Git 설치하기 (Git for Windows) (11) | 2020.12.25 |
---|---|
[Git] 소스트리 (SourceTree) 설치/다운로드하기 (0) | 2018.09.25 |
[Git] 이클립스와 깃(GitHub) 연동하여 원격 저장소의 프로젝트 내려받기 (3) | 2018.09.23 |
[Git] GitHub 레파지토리(Repository) 삭제 (7) | 2018.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