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Oracle(75)
-
DB/Oracle
2019.12.21
[Oracle] 오라클 예외처리 (PL/SQL)
프로그램을 개발할때면 다양한 경우의 수를 예상 해 예외처리를 해야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라클 PL/SQL 예외처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외처리 종류 오라클 예외처리는 크게 시스템 예외와 사용자 정의 예외로 나뉩니다. 시스템 예외는 오라클에서 발생시키는 에러로 나누기 연산 시 제수를 0으로 나누면 에러가 발생하는 에러 같은 것처럼 오라클 내부에 미리 정의된 에러를 의미합니다. 사용자 정의 예외는 사용자가 직접 예외를 정의해서 사용하는것을 말하는데 저는 실제로 실무에서 써본적은 없습니다. 예외처리 방법 EXCEPTION WHEN 예외명 THEN 예외처리 --예외명을 알 경우 WHEN OTHERS THEN 예외처리 --예외명을 모를 경우 오라클에서 예외를 처리하는 문법은 위와같습니다. 첫..
-
DB/Oracle
2019.12.20
[Oracle] 오라클 프로시저(Procedure) 생성 및 실행 (PL/SQL)
프로시저란? 오라클에서의 프로시저는 PL/SQL을 통해 만들어집니다. 자주 사용하는 SQL을 프로시저로 만든 뒤 필요 할때마다 호출,사용하여 작업 효율을 늘릴 수 있습니다. 함수는 특정 연산을 수행한 뒤 결과 값을 반환하지만 프로시저는 특정한 로직을 처리하기만 하고 결과 값은 반환하지 않는 서브 프로그램입니다. 프로시저 생성 CREATE OR REPLACE PROCEDURE EX_PROC ( P_DEPARTMENT IN VARCHAR2, P_STUDENT_CNT IN NUMBER ) IS P_UNIVERSITY VARCHAR2(100) := '서울대학교'; BEGIN INSERT INTO UNIVERSITY1 (UNIVERSITY, DEPARTMENT, STUDENT_CNT) VALUES (P_UNIVE..
-
DB/Oracle
2019.12.19
4
[Oracle] 오라클 반복문 (LOOP, WHILE, FOR)문 사용법 (PL/SQL)
다른언어와 마찬가지로 PL/SQL에서도 반복문을 지원합니다. PL/SQL에서의 반복문 종류는 LOOP문, WHILE문, FOR문이 있습니다. LOOP문 --사용법 LOOP 처리문; EXIT[조건]; END LOOP; --예제 DECLARE NUM1 NUMBER :=1; BEGIN LOOP DBMS_OUTPUT.PUT_LINE(NUM1); --출력 NUM1 := NUM1+1; --NUM = NUM +1 EXIT WHEN NUM1 >10; --NUM1이 10보다 크면 LOOP종료 END LOOP; END; LOOP문 사용법은 위와같습니다. 반복문은 특정조건까지만 반복하며 로직을 수행하는데 LOOP의 반복문은 EXIT[WHEN 조건]; 이라는 구절에서 실행됩니다. 따라서 EXIT를 누락하면 해당 LOOP는 무..
-
DB/Oracle
2019.12.18
1
[Oracle] 오라클 조건문 (IF, CASE)문 사용법 (PL/SQL)
프로그램을 짜다보면 특정 조건에 맞을때 처리하는 조건문이 굉장히 많이 사용됩니다. 오라클에서 지원하는 PL/SQL에도 이 조건문이 존재합니다. 조건문 IF문 --사용법 IF 조건 THEN 처리문 ELSIF 조건2 THEN 처리문 ...... ELSE 처리문 END IF; IF문은 조건값이 참이면 해당 조건의 처리문장이 실행됩니다. 사용법은 위와같으며 다른 언어와 비교하여 전체적인 구조는 다르지 않으나 3가지가 다릅니다. 조건 다음에 THEN을 붙인다는것이 다르고, 여러개의 조건을 붙일 경우 다른 언어에서는 ELSE IF라고 많이 하지만 PL/SQL에서는 ELSIF 라는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IF를 끝낸다는 END IF를 붙인다는 점이 다릅니다. DECLARE SCORE NUMBER :=..
-
DB/Oracle
2019.12.17
[Oracle] 오라클 변수 및 상수 선언 및 사용법 (PL/SQL)
PL / SQL이란? PL/SQL은 상용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인 오라클 DBMS에서 SQL 언어를 확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입니다. 오라클에서 변수를 선언 후 사용하시려면 이 PL/SQL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변수 및 상수 선언 --변수 선언 변수명 데이터타입 : = 초기값; EX_NUM NUMBER := 1; EX_STR VARCHAR2(10) := 'STR1'; --상수 선언 상수명 CONSTRANT 데이터타입 : = 상수값; EX_NUM CONSTANT NUMBER := 1; 변수 선언법은 위와같습니다. PL/SQL에서는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하는 = 이 아니라 :=입니다. 특정 변수에 :=을 기준으로 오른쪽 값을 왼쪽에 할당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
DB/Oracle
2019.12.16
2
[Oracle] SELECT문 중복된 값 제거 MINUS (차집합)
SELECT문을 실행하면 데이터가 조회됩니다. 만약 이렇게 조회한 여러개의 SELECT문을 가지고 데이터를 가공하고 싶다면 집합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집합 연산자는 SELECT문 활용하여 조회한 데이터를 연산하는 연산자이며 우리가 어릴적 배웠던 그 집합과 동일합니다. 집합 연산자에는 UNION, UNION ALL, INTERSECT, MINUS가 있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첫번째 SELECT문을 기준으로 두번째 SELECT문과의 공통된 데이터를 제거한 후 반환하는 MINUS에 대해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차집합 MINUS 첫번째 SELECT문에서 두번째 SELECT문을 빼고 싶다면 MINUS를 사용하면 됩니다. MINUS를 사용하면 첫번째 SELECT문을 기준으로 두번째 SELECT문과의 공통..
-
DB/Oracle
2019.12.15
[Oracle] SELECT문 중복된 데이터만 추출하기 INTERSECT (교집합)
SELECT문을 실행하면 데이터가 조회됩니다. 만약 이렇게 조회한 여러개의 SELECT문을 가지고 데이터를 가공하고 싶다면 집합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집합연산자는 SELECT문 활용하여 조회한 데이터를 연산하는 연산자이며 우리가 어릴적 배웠던 그 집합과 동일합니다. 집합 연산자에는 UNION, UNION ALL, INTERSECT, MINUS가 있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SELECT문들의 중복된 데이터만 추출해주는 INTERSECT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교집합 INTERSECT 두개의 SELECT문의 중복값을 출력하고 싶은 경우에는 INTERSECT를 사용하면 됩니다. INTERSECT를 사용하면 두개의 데이터 집합에서 공통된 항목만 추출해냅니다. 위의 그림과 같은 데이터를 가진 두개의 테이..
-
DB/Oracle
2019.12.14
[Oracle] SELECT문 합치기 유니온(UNION, UNION ALL) 합집합
SELECT문을 실행하면 데이터가 조회됩니다. 만약 이렇게 조회한 여러개의 SELECT문을 가지고 데이터를 가공하고 싶다면 집합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집합연산자는 SELECT문 활용하여 조회한 데이터를 연산하는 연산자이며 우리가 어릴적 배웠던 그 집합과 동일합니다. 집합 연산자에는 UNION, UNION ALL, INTERSECT, MINUS가 있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복수의SELECT문을 합쳐주는 UNION, UNION ALL에 대해 포스팅해보려 합니다. 합집합 UNION (중복제거) 두개의 SELECT문을 서로 합치고 싶은데 그 중에서도 두개의 조회문의 중복되는 데이터를 한번만 출력하고 싶다면 UNION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UNION은 합집합을 의미하며 사용하게되면 두개의 SELECT문을 서로..
-
DB/Oracle
2019.12.09
1
[Oracle] 오라클 WITH절 사용법 & 예제 (임시 테이블 만들기)
WITH절이란 WITH절은 오라클9 이후 버전부터 사용이 가능하며 이름이 부여된 서브쿼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임시테이블을 만든다는 관점에서본다면 VIEW와 쓰임새가 비슷한데 차이점이 있다면 VIEW는 한번 만들어놓으면 DROP할때까지 없어지지 않지만 WITH절의 같은경우 한번 실행할 쿼리문내에 정의되어 있을경우, 그 쿼리문안에서만 실행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WITH절을 사용하는 이유 WITH절은 복잡한 SQL에서 동일 블록에 대해 반복적으로 SQL문을 사용하는 경우 그 블록에 이름을 부여하여 재사용 할 수 있게 함으로서 쿼리 성능을 높일 수 있는데 WITH절을 이용하여 미리 이름을 부여해서 Query Block을 만들 수 있습니다. 자주 실행되는 경우 한번만 Parsing되고 Plan 계획이 수립..
-
DB/Oracle
2019.12.08
[Oracle] 오라클 그룹별 순번, 순위 매기기(ROW_NUMBER, RANK) 함수
그룹별 순번매기기 ROW_NUMBER() 카테고리(CATEGORY_ID)별 저렴한 금액(STANDARD_COST)순으로 순번 매기기 SELECT A.CATEGORY_ID, B.CATEGORY_NAME, A.STANDARD_COST, ROW_NUMBER() OVER (PARTITION BY A.CATEGORY_ID ORDER BY A.CATEGORY_ID, A.STANDARD_COST) AS NUM --그룹별 순번 FROM PRODUCTS A INNER JOIN PRODUCT_CATEGORIES B ON A.CATEGORY_ID = B.CATEGORY_ID 카테고리별 가격의 순번을 매기는 쿼리입니다. CPU카테고리에서는 70번까지의 순번이 값이 작은 순에서 큰 순으로 순번이 매겨졌고 그 뒤로 두번째 카테고..
-
DB/Oracle 2019.12.21[Oracle] 오라클 예외처리 (PL/SQL) 프로그램을 개발할때면 다양한 경우의 수를 예상 해 예외처리를 해야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라클 PL/SQL 예외처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외처리 종류 오라클 예외처리는 크게 시스템 예외와 사용자 정의 예외로 나뉩니다. 시스템 예외는 오라클에서 발생시키는 에러로 나누기 연산 시 제수를 0으로 나누면 에러가 발생하는 에러 같은 것처럼 오라클 내부에 미리 정의된 에러를 의미합니다. 사용자 정의 예외는 사용자가 직접 예외를 정의해서 사용하는것을 말하는데 저는 실제로 실무에서 써본적은 없습니다. 예외처리 방법 EXCEPTION WHEN 예외명 THEN 예외처리 --예외명을 알 경우 WHEN OTHERS THEN 예외처리 --예외명을 모를 경우 오라클에서 예외를 처리하는 문법은 위와같습니다. 첫..
-
DB/Oracle 2019.12.20[Oracle] 오라클 프로시저(Procedure) 생성 및 실행 (PL/SQL) 프로시저란? 오라클에서의 프로시저는 PL/SQL을 통해 만들어집니다. 자주 사용하는 SQL을 프로시저로 만든 뒤 필요 할때마다 호출,사용하여 작업 효율을 늘릴 수 있습니다. 함수는 특정 연산을 수행한 뒤 결과 값을 반환하지만 프로시저는 특정한 로직을 처리하기만 하고 결과 값은 반환하지 않는 서브 프로그램입니다. 프로시저 생성 CREATE OR REPLACE PROCEDURE EX_PROC ( P_DEPARTMENT IN VARCHAR2, P_STUDENT_CNT IN NUMBER ) IS P_UNIVERSITY VARCHAR2(100) := '서울대학교'; BEGIN INSERT INTO UNIVERSITY1 (UNIVERSITY, DEPARTMENT, STUDENT_CNT) VALUES (P_UNIVE..
-
DB/Oracle 2019.12.19 4[Oracle] 오라클 반복문 (LOOP, WHILE, FOR)문 사용법 (PL/SQL) 다른언어와 마찬가지로 PL/SQL에서도 반복문을 지원합니다. PL/SQL에서의 반복문 종류는 LOOP문, WHILE문, FOR문이 있습니다. LOOP문 --사용법 LOOP 처리문; EXIT[조건]; END LOOP; --예제 DECLARE NUM1 NUMBER :=1; BEGIN LOOP DBMS_OUTPUT.PUT_LINE(NUM1); --출력 NUM1 := NUM1+1; --NUM = NUM +1 EXIT WHEN NUM1 >10; --NUM1이 10보다 크면 LOOP종료 END LOOP; END; LOOP문 사용법은 위와같습니다. 반복문은 특정조건까지만 반복하며 로직을 수행하는데 LOOP의 반복문은 EXIT[WHEN 조건]; 이라는 구절에서 실행됩니다. 따라서 EXIT를 누락하면 해당 LOOP는 무..
-
DB/Oracle 2019.12.18 1[Oracle] 오라클 조건문 (IF, CASE)문 사용법 (PL/SQL) 프로그램을 짜다보면 특정 조건에 맞을때 처리하는 조건문이 굉장히 많이 사용됩니다. 오라클에서 지원하는 PL/SQL에도 이 조건문이 존재합니다. 조건문 IF문 --사용법 IF 조건 THEN 처리문 ELSIF 조건2 THEN 처리문 ...... ELSE 처리문 END IF; IF문은 조건값이 참이면 해당 조건의 처리문장이 실행됩니다. 사용법은 위와같으며 다른 언어와 비교하여 전체적인 구조는 다르지 않으나 3가지가 다릅니다. 조건 다음에 THEN을 붙인다는것이 다르고, 여러개의 조건을 붙일 경우 다른 언어에서는 ELSE IF라고 많이 하지만 PL/SQL에서는 ELSIF 라는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IF를 끝낸다는 END IF를 붙인다는 점이 다릅니다. DECLARE SCORE NUMBER :=..
-
DB/Oracle 2019.12.17[Oracle] 오라클 변수 및 상수 선언 및 사용법 (PL/SQL) PL / SQL이란? PL/SQL은 상용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인 오라클 DBMS에서 SQL 언어를 확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입니다. 오라클에서 변수를 선언 후 사용하시려면 이 PL/SQL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변수 및 상수 선언 --변수 선언 변수명 데이터타입 : = 초기값; EX_NUM NUMBER := 1; EX_STR VARCHAR2(10) := 'STR1'; --상수 선언 상수명 CONSTRANT 데이터타입 : = 상수값; EX_NUM CONSTANT NUMBER := 1; 변수 선언법은 위와같습니다. PL/SQL에서는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하는 = 이 아니라 :=입니다. 특정 변수에 :=을 기준으로 오른쪽 값을 왼쪽에 할당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
DB/Oracle 2019.12.16 2[Oracle] SELECT문 중복된 값 제거 MINUS (차집합) SELECT문을 실행하면 데이터가 조회됩니다. 만약 이렇게 조회한 여러개의 SELECT문을 가지고 데이터를 가공하고 싶다면 집합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집합 연산자는 SELECT문 활용하여 조회한 데이터를 연산하는 연산자이며 우리가 어릴적 배웠던 그 집합과 동일합니다. 집합 연산자에는 UNION, UNION ALL, INTERSECT, MINUS가 있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첫번째 SELECT문을 기준으로 두번째 SELECT문과의 공통된 데이터를 제거한 후 반환하는 MINUS에 대해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차집합 MINUS 첫번째 SELECT문에서 두번째 SELECT문을 빼고 싶다면 MINUS를 사용하면 됩니다. MINUS를 사용하면 첫번째 SELECT문을 기준으로 두번째 SELECT문과의 공통..
-
DB/Oracle 2019.12.15[Oracle] SELECT문 중복된 데이터만 추출하기 INTERSECT (교집합) SELECT문을 실행하면 데이터가 조회됩니다. 만약 이렇게 조회한 여러개의 SELECT문을 가지고 데이터를 가공하고 싶다면 집합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집합연산자는 SELECT문 활용하여 조회한 데이터를 연산하는 연산자이며 우리가 어릴적 배웠던 그 집합과 동일합니다. 집합 연산자에는 UNION, UNION ALL, INTERSECT, MINUS가 있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SELECT문들의 중복된 데이터만 추출해주는 INTERSECT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교집합 INTERSECT 두개의 SELECT문의 중복값을 출력하고 싶은 경우에는 INTERSECT를 사용하면 됩니다. INTERSECT를 사용하면 두개의 데이터 집합에서 공통된 항목만 추출해냅니다. 위의 그림과 같은 데이터를 가진 두개의 테이..
-
DB/Oracle 2019.12.14[Oracle] SELECT문 합치기 유니온(UNION, UNION ALL) 합집합 SELECT문을 실행하면 데이터가 조회됩니다. 만약 이렇게 조회한 여러개의 SELECT문을 가지고 데이터를 가공하고 싶다면 집합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집합연산자는 SELECT문 활용하여 조회한 데이터를 연산하는 연산자이며 우리가 어릴적 배웠던 그 집합과 동일합니다. 집합 연산자에는 UNION, UNION ALL, INTERSECT, MINUS가 있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복수의SELECT문을 합쳐주는 UNION, UNION ALL에 대해 포스팅해보려 합니다. 합집합 UNION (중복제거) 두개의 SELECT문을 서로 합치고 싶은데 그 중에서도 두개의 조회문의 중복되는 데이터를 한번만 출력하고 싶다면 UNION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UNION은 합집합을 의미하며 사용하게되면 두개의 SELECT문을 서로..
-
DB/Oracle 2019.12.09 1[Oracle] 오라클 WITH절 사용법 & 예제 (임시 테이블 만들기) WITH절이란 WITH절은 오라클9 이후 버전부터 사용이 가능하며 이름이 부여된 서브쿼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임시테이블을 만든다는 관점에서본다면 VIEW와 쓰임새가 비슷한데 차이점이 있다면 VIEW는 한번 만들어놓으면 DROP할때까지 없어지지 않지만 WITH절의 같은경우 한번 실행할 쿼리문내에 정의되어 있을경우, 그 쿼리문안에서만 실행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WITH절을 사용하는 이유 WITH절은 복잡한 SQL에서 동일 블록에 대해 반복적으로 SQL문을 사용하는 경우 그 블록에 이름을 부여하여 재사용 할 수 있게 함으로서 쿼리 성능을 높일 수 있는데 WITH절을 이용하여 미리 이름을 부여해서 Query Block을 만들 수 있습니다. 자주 실행되는 경우 한번만 Parsing되고 Plan 계획이 수립..
-
DB/Oracle 2019.12.08[Oracle] 오라클 그룹별 순번, 순위 매기기(ROW_NUMBER, RANK) 함수 그룹별 순번매기기 ROW_NUMBER() 카테고리(CATEGORY_ID)별 저렴한 금액(STANDARD_COST)순으로 순번 매기기 SELECT A.CATEGORY_ID, B.CATEGORY_NAME, A.STANDARD_COST, ROW_NUMBER() OVER (PARTITION BY A.CATEGORY_ID ORDER BY A.CATEGORY_ID, A.STANDARD_COST) AS NUM --그룹별 순번 FROM PRODUCTS A INNER JOIN PRODUCT_CATEGORIES B ON A.CATEGORY_ID = B.CATEGORY_ID 카테고리별 가격의 순번을 매기는 쿼리입니다. CPU카테고리에서는 70번까지의 순번이 값이 작은 순에서 큰 순으로 순번이 매겨졌고 그 뒤로 두번째 카테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