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Web Programming(33)
-
Web/Web Programming
2023.12.16
[Web] DNS(도메인 네임 시스템)란 무엇인가? + 사용하는 이유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이란? DNS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 -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 도메인(www.naver.com)을 IP 주소(192.168.0.1)로 변환하는 시스템입니다. 인터넷에서 통신할 때, 클라이언트는 IP 주소를 사용하여 서버와 통신하게 되는데 사용자는 IP 주소를 일일이 기억하기 어려우므로, DNS 서버에 해당 도메인에 IP 주소를 매핑하여 도메인 입력만으로도 IP주소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 기억하기 어려운 IP 주소를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으로 관리할 수 있다. 네이버 : 223.130.200.104 구글 : 142.250.199.78 DNS 서버를 ..
-
Web/Web Programming
2023.12.14
[Web] 네트워크 포트(PORT)번호란 무엇인가?
포트번호란? ex) 192.132.15.86:50921 IP주소 뒤에 : 기호와 함께 붙는 번호를 포트라고 합니다. 포트는 0~65536 사이의 숫자를 가지게 되며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를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되는 16비트의 논리적 할당을 말합니다. 포트번호는 컴퓨터의 특정 프로세스를 찾아갈 때 사용됩니다. 즉 192.132.15.86이라는 IP는 컴퓨터를 찾을 때 필요한 주소를 말하며, 50921이라는 포트는 컴퓨터 안에서 프로그램을 찾을 때 사용하는 것입니다. 포트라는 용어의 유래도 본래는 항구라는 단어에서 따온 말입니다. 항구의 입장에서 봤을 때 컨테이너를 가득 실은 배가 한 번에 둘 이상 입항하려고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A컨테이너선은 1부두로 B컨테이너선은 2부두로 유도를 시켜줘야 하겠죠...
-
Web/Web Programming
2022.07.06
[Web] 구글 Chrome SameSite 이슈에 대하여 (크롬 80)
2020.2.4 구글 크롬(Google Chrome) 80버전으로 업데이트되면서 크롬에 새로운 쿠키 정책이 적용되었다. 내용은 Cookie의 SameSite 속성의 기본 값이 "None"에서 "Lax"로 보안등급을 상향 조절하는 것이다. 구글 Chrome SameSite 이슈에 대하여 SameSite 속성의 기본 값이 "None"에서 "Lax"로 변경되면 각종 문제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사이트를 이용하다가 갑자기 쿠키가 날아가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는 점입니다. 대표적인 예가 로그인 정보입니다. 많은 웹사이트들이 로그인을 한 후 Cookies를 사용해 유저의 신원을 확인하여 페이지를 전환해도 재인증을 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SameSite 이슈로 인해 이 쿠키값을 찾지 못한..
-
Web/Web Programming
2021.06.18
1
[Web] 서블릿(Servlet)이란 무엇인가? 서블릿 총정리
서블릿(Servlet)이란? 서블릿이란 Dynamic Web Page를 만들 때 사용되는 자바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기술입니다. 웹을 만들때는 다양한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이 있기 마련이고 이 요청과 응답에는 규칙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요청과 응답을 일일이 처리하려면 굉장히 힘들겠죠? 서블릿은 이러한 웹 요청과 응답의 흐름을 간단한 메서드 호출만으로 체계적으로 다룰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라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빠를듯 합니다. 서블릿은 자바 클래스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한 뒤 이후 웹 서버 안에 있는 웹 컨테이너에서 이것을 실행하고, 웹 컨테이너에서는 서블릿 인스턴스를 생성 후 서버에서 실행되다가 웹 브라우저에서 서버에 요청(Request)을 하면 요청에 맞는 동작을 ..
-
Web/Web Programming
2021.06.10
[Web] Web Server와 WAS(Web Application Server)에 대하여
Web Service의 전체적인 흐름 웹 개발을 진행한다고 하면 위의 그림과 같은 구조로 시스템을 구성하게 됩니다. 전체적인 흐름을 보면 웹 브라우저에서 Web Server로 HTTP 요청을 보내고 정적 요청인 경우에는 즉각적으로 Web Server에서 응답을 합니다. 하지만 동적 요청인 경우에는 Web Sever에서 대응하지 못하고 Web Server에 연결되어 있는 Web Application Server 중 한 곳에 처리를 위임합니다. Web Application Sever는 Web Server에서 요청을 받게 되면 컨테이너가 응답하여 동적 콘텐츠를 삽입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인 Java를 사용할 수 있게끔 JSP / Servlet을 실행한 뒤 DB에서 값을 가져오는 등의 동적인 값을 확정하고 ..
-
Web/Web Programming
2021.04.30
[Network] ARP(주소 결정 프로토콜)에 대하여
ARP(주소 결정 프로토콜)이란? 주소 결정 프로토콜(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은 네트워크 상에서 IP 주소를 MAC 주소로 대응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처음 통신을 시작할 때는 상대방의 Mac Address를 모르는데 그때 상대방의 Mac Address를 알아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ARP는 요청과 응답으로 구성된 프로토콜로 라우팅 되지 않는 단일 네트워크에서만 동작하며. IP와 MAC 주소를 캡슐화하기 때문에 위의 그림과 같이 L2와 L3 사이에 있는 프로토콜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ARP 프로토콜과는 반대로 해당 MAC 주소에 맞는 IP값을 알아오는 프로토콜을 역순 주소 결정 프로토콜(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
Web/Web Programming
2021.04.16
[Network] 인터넷과 웹이 동작하는 과정과 원리에 대하여
인터넷이란? 인터넷이란 전 세계에 걸쳐 원거리 접속이나 파일 전송, 전자 메일 등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시스템이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 인터넷은 접속하는 여러 디바이스가 이 거대한 망에서 상호간의 통신을 주고받고 데이터들이 오고 가면서 상당히 복잡한 과정의 절차를 거칩니다. 즉 인터넷이란 디바이스끼리 통신을 할 수 있는 네트워크라는 개념에서 조금 더 확장된 모든 디바이스가 통신을 할 수 있는 거대한 네트워크다 라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그렇다면 각각의 디바이스끼리 어떻게 위치를 찾아가는것일까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가 사는 집에도 주소가 있듯 디바이스가 위치한 네트워크마다 고유의 주소를 지정해두었습니다. 그 주소의 이름을 바로 IP주소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
Web/Web Programming
2021.04.14
[Web] 톰캣 서버 자체 실행후 웹 프로젝트 페이지(html, jsp) 실행하기
대부분 웹 프로젝트를 할때 이클립스에서 톰캣을 연동하신 후 사용하시곤 합니다. 하지만 이클립스와 같은 IDE가 없이도 톰캣 자체적으로 서버를 올리고 웹 프로젝트의 파일들도 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톰캣 서버 올리고 내리기 1. 톰캣이 설치된 폴더의 bin으로 들어가시면 위와 같이 startup과 shutdown이라는 윈도우 배치파일이 있습니다. startup.bat을 실행하면 톰캣 서버가 올라가고 shutdown.bat을 실행시키면 톰캣 서버가 내려갑니다. 그냥 아이콘을 더블클릭하여 실행시키셔서 실행이 된다면 그냥 이렇게 켜고 끄고 하셔도 되지만 만약 되지 않는다면 로그 확인을 위해 CMD에서 실행을 시켜보는것을 추천드립니다. 2. 먼저 CMD창을 켜신 후 CD bin경로를 입력하여 Tomcat의 ..
-
Web/Web Programming
2020.11.14
8
[Network] TCP / UDP의 개념과 특징, 차이점
전송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TCP / UDP) TCP와 UDP는 OSI 표준모델과 TCP/IP 모델의 전송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전송계층은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IP에 의해 전달되는 패킷의 오류를 검사하며 재전송 요구 제어등을 담당하는 계층입니다. 쉽게 말해 데이터의 전달을 담당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TCP와 UDP는 포트 번호를 이용하여 주소를 지정하는것과 데이터 오류검사를 위한 체크섬 존재하는 두가지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정확성(TCP)을 추구할지 신속성(UDP)을 추구할지를 구분하여 나뉩니다. 데이터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확실히 주고받고 싶을 때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를 사용합니다. TCP는 통신할 컴퓨터..
-
Web/Web Programming
2020.11.13
5
[Network] TCP / IP란 무엇인가?
TCP / IP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는 데이터가 의도된 목적지에 닿을 수 있도록 보장해주는 통신 규약입니다. TCP / IP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TCP / IP에는 두가지 프로토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인터넷으로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집합이며 개별적인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TCP / IP는 인터넷의 기본 통신 언어입니다. 기본적으로 TCP / IP를 사용하면 한 컴퓨터가 데이터 패킷을 컴파일하고 올바른 위치로 전송하여 인터넷을 통해 다른 컴퓨터와 통신 할 수 있습니다. 프로토콜이란? 컴퓨터와 네트워크 기기가 상호간에 통신하기 위해서는 서로 같은 방법으로 통신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어떻..
-
Web/Web Programming 2023.12.16[Web] DNS(도메인 네임 시스템)란 무엇인가? + 사용하는 이유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이란? DNS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 -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 도메인(www.naver.com)을 IP 주소(192.168.0.1)로 변환하는 시스템입니다. 인터넷에서 통신할 때, 클라이언트는 IP 주소를 사용하여 서버와 통신하게 되는데 사용자는 IP 주소를 일일이 기억하기 어려우므로, DNS 서버에 해당 도메인에 IP 주소를 매핑하여 도메인 입력만으로도 IP주소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 기억하기 어려운 IP 주소를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으로 관리할 수 있다. 네이버 : 223.130.200.104 구글 : 142.250.199.78 DNS 서버를 ..
-
Web/Web Programming 2023.12.14[Web] 네트워크 포트(PORT)번호란 무엇인가? 포트번호란? ex) 192.132.15.86:50921 IP주소 뒤에 : 기호와 함께 붙는 번호를 포트라고 합니다. 포트는 0~65536 사이의 숫자를 가지게 되며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를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되는 16비트의 논리적 할당을 말합니다. 포트번호는 컴퓨터의 특정 프로세스를 찾아갈 때 사용됩니다. 즉 192.132.15.86이라는 IP는 컴퓨터를 찾을 때 필요한 주소를 말하며, 50921이라는 포트는 컴퓨터 안에서 프로그램을 찾을 때 사용하는 것입니다. 포트라는 용어의 유래도 본래는 항구라는 단어에서 따온 말입니다. 항구의 입장에서 봤을 때 컨테이너를 가득 실은 배가 한 번에 둘 이상 입항하려고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A컨테이너선은 1부두로 B컨테이너선은 2부두로 유도를 시켜줘야 하겠죠...
-
Web/Web Programming 2022.07.06[Web] 구글 Chrome SameSite 이슈에 대하여 (크롬 80) 2020.2.4 구글 크롬(Google Chrome) 80버전으로 업데이트되면서 크롬에 새로운 쿠키 정책이 적용되었다. 내용은 Cookie의 SameSite 속성의 기본 값이 "None"에서 "Lax"로 보안등급을 상향 조절하는 것이다. 구글 Chrome SameSite 이슈에 대하여 SameSite 속성의 기본 값이 "None"에서 "Lax"로 변경되면 각종 문제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사이트를 이용하다가 갑자기 쿠키가 날아가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는 점입니다. 대표적인 예가 로그인 정보입니다. 많은 웹사이트들이 로그인을 한 후 Cookies를 사용해 유저의 신원을 확인하여 페이지를 전환해도 재인증을 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SameSite 이슈로 인해 이 쿠키값을 찾지 못한..
-
Web/Web Programming 2021.06.18 1[Web] 서블릿(Servlet)이란 무엇인가? 서블릿 총정리 서블릿(Servlet)이란? 서블릿이란 Dynamic Web Page를 만들 때 사용되는 자바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기술입니다. 웹을 만들때는 다양한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이 있기 마련이고 이 요청과 응답에는 규칙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요청과 응답을 일일이 처리하려면 굉장히 힘들겠죠? 서블릿은 이러한 웹 요청과 응답의 흐름을 간단한 메서드 호출만으로 체계적으로 다룰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라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빠를듯 합니다. 서블릿은 자바 클래스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한 뒤 이후 웹 서버 안에 있는 웹 컨테이너에서 이것을 실행하고, 웹 컨테이너에서는 서블릿 인스턴스를 생성 후 서버에서 실행되다가 웹 브라우저에서 서버에 요청(Request)을 하면 요청에 맞는 동작을 ..
-
Web/Web Programming 2021.06.10[Web] Web Server와 WAS(Web Application Server)에 대하여 Web Service의 전체적인 흐름 웹 개발을 진행한다고 하면 위의 그림과 같은 구조로 시스템을 구성하게 됩니다. 전체적인 흐름을 보면 웹 브라우저에서 Web Server로 HTTP 요청을 보내고 정적 요청인 경우에는 즉각적으로 Web Server에서 응답을 합니다. 하지만 동적 요청인 경우에는 Web Sever에서 대응하지 못하고 Web Server에 연결되어 있는 Web Application Server 중 한 곳에 처리를 위임합니다. Web Application Sever는 Web Server에서 요청을 받게 되면 컨테이너가 응답하여 동적 콘텐츠를 삽입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인 Java를 사용할 수 있게끔 JSP / Servlet을 실행한 뒤 DB에서 값을 가져오는 등의 동적인 값을 확정하고 ..
-
Web/Web Programming 2021.04.30[Network] ARP(주소 결정 프로토콜)에 대하여 ARP(주소 결정 프로토콜)이란? 주소 결정 프로토콜(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은 네트워크 상에서 IP 주소를 MAC 주소로 대응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처음 통신을 시작할 때는 상대방의 Mac Address를 모르는데 그때 상대방의 Mac Address를 알아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ARP는 요청과 응답으로 구성된 프로토콜로 라우팅 되지 않는 단일 네트워크에서만 동작하며. IP와 MAC 주소를 캡슐화하기 때문에 위의 그림과 같이 L2와 L3 사이에 있는 프로토콜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ARP 프로토콜과는 반대로 해당 MAC 주소에 맞는 IP값을 알아오는 프로토콜을 역순 주소 결정 프로토콜(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
Web/Web Programming 2021.04.16[Network] 인터넷과 웹이 동작하는 과정과 원리에 대하여 인터넷이란? 인터넷이란 전 세계에 걸쳐 원거리 접속이나 파일 전송, 전자 메일 등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시스템이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 인터넷은 접속하는 여러 디바이스가 이 거대한 망에서 상호간의 통신을 주고받고 데이터들이 오고 가면서 상당히 복잡한 과정의 절차를 거칩니다. 즉 인터넷이란 디바이스끼리 통신을 할 수 있는 네트워크라는 개념에서 조금 더 확장된 모든 디바이스가 통신을 할 수 있는 거대한 네트워크다 라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그렇다면 각각의 디바이스끼리 어떻게 위치를 찾아가는것일까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가 사는 집에도 주소가 있듯 디바이스가 위치한 네트워크마다 고유의 주소를 지정해두었습니다. 그 주소의 이름을 바로 IP주소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
Web/Web Programming 2021.04.14[Web] 톰캣 서버 자체 실행후 웹 프로젝트 페이지(html, jsp) 실행하기 대부분 웹 프로젝트를 할때 이클립스에서 톰캣을 연동하신 후 사용하시곤 합니다. 하지만 이클립스와 같은 IDE가 없이도 톰캣 자체적으로 서버를 올리고 웹 프로젝트의 파일들도 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톰캣 서버 올리고 내리기 1. 톰캣이 설치된 폴더의 bin으로 들어가시면 위와 같이 startup과 shutdown이라는 윈도우 배치파일이 있습니다. startup.bat을 실행하면 톰캣 서버가 올라가고 shutdown.bat을 실행시키면 톰캣 서버가 내려갑니다. 그냥 아이콘을 더블클릭하여 실행시키셔서 실행이 된다면 그냥 이렇게 켜고 끄고 하셔도 되지만 만약 되지 않는다면 로그 확인을 위해 CMD에서 실행을 시켜보는것을 추천드립니다. 2. 먼저 CMD창을 켜신 후 CD bin경로를 입력하여 Tomcat의 ..
-
Web/Web Programming 2020.11.14 8[Network] TCP / UDP의 개념과 특징, 차이점 전송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TCP / UDP) TCP와 UDP는 OSI 표준모델과 TCP/IP 모델의 전송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전송계층은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IP에 의해 전달되는 패킷의 오류를 검사하며 재전송 요구 제어등을 담당하는 계층입니다. 쉽게 말해 데이터의 전달을 담당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TCP와 UDP는 포트 번호를 이용하여 주소를 지정하는것과 데이터 오류검사를 위한 체크섬 존재하는 두가지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정확성(TCP)을 추구할지 신속성(UDP)을 추구할지를 구분하여 나뉩니다. 데이터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확실히 주고받고 싶을 때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를 사용합니다. TCP는 통신할 컴퓨터..
-
Web/Web Programming 2020.11.13 5[Network] TCP / IP란 무엇인가? TCP / IP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는 데이터가 의도된 목적지에 닿을 수 있도록 보장해주는 통신 규약입니다. TCP / IP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TCP / IP에는 두가지 프로토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인터넷으로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집합이며 개별적인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TCP / IP는 인터넷의 기본 통신 언어입니다. 기본적으로 TCP / IP를 사용하면 한 컴퓨터가 데이터 패킷을 컴파일하고 올바른 위치로 전송하여 인터넷을 통해 다른 컴퓨터와 통신 할 수 있습니다. 프로토콜이란? 컴퓨터와 네트워크 기기가 상호간에 통신하기 위해서는 서로 같은 방법으로 통신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어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