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할 때 꼭 해야 하는 행정 절차가 바로 전출신고와 전입신고입니다. 예전에는 주민센터를 직접 방문해야 했지만, 요즘은 정부24(www.gov.kr )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정부24를 활용해 전출신고·전입신고를 온라인에서 처리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신규 거주지 전입신고를 하면
기존 거주지의 전출신고가 자동으로 진행됩니다.
※ 전출신고만 단독으로 진행하실 수 없습니다.
전입신고를 하면 기존 주소지는 자동으로 전출 처리되며, 전출신고만 단독으로는 할 수 없습니다. 이는 주민등록 공백을 방지하고, 세대·인구 이동을 정확히 관리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입니다. 만약 전출만 허용된다면 실제 거주지와 주민등록지를 다르게 유지하려는 악용 사례가 생길 수 있기에, 행정 시스템상 불가능하도록 설계된 것입니다. 따라서 이사할 때는 반드시 새로운 주소지에서 전입신고를 하면 되고, 그 과정에서 이전 주소지는 자동으로 전출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온라인으로 전입신고 하는법 - 정부 24 사이트 이용
1. 아래 링크되어있는 정부24 홈페이지로 접속하신 뒤 "전입신고"라고 검색해 주세요.
2. "전입신고"라고 되어있는 민원서비스에 신고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전입신고를 하려면 먼저 정부24에 로그인해야 합니다. 로그인을 해야만 전입신고 절차가 진행되니 반드시 먼저 해주세요. 저는 여러 방법 중에서 간편인증(휴대폰 본인인증, 공동/금융인증서 연동 등)을 이용하는 게 가장 편리하더라고요.
4. 로그인을 하면, 본격적으로 전입신고 절차가 진행됩니다.
5. 먼저 기본정보를 입력해야 하는데요. 신청인 정보와, 전입사유를 선택한 후 "다음으로"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6. 그런 뒤 이전 주소지 입력해 주고 세대원에서 이사 가는 사람을 선택합니다.
7. 행정정보 공동이용 동의서에 "동의"하고, 다음으로 버튼을 클릭합니다.
8. 현재 거주지 주소와, 세대 구성 방법을 선택합니다. 여기서 "이사온 곳에 기존에 살고 있는 세대주가 있는 경우"라면 기존 세대주의 동의가 필요하니 참고 부탁드려요.
9. 전입신고 절차가 완료됩니다. 처리는 영업일 기준 +1일 정도에는 대부분 처리되니 참고 부탁드려요.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 그래픽카드 GPU 벤치마크 사이트 - BEST 5 (2) | 2025.09.09 |
---|---|
아이폰에서 멜론 이용권 해지하는 방법 (순서대로 따라오시면 됩니다) (0) | 2025.05.11 |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비교분석 (구글드라이브, 드롭박스, 원드라이브, 아이클라우드, 네이버마이박스) (1) | 2025.04.21 |
[Web] 프리미어 프로 템플릿 다운로드 사이트 BEST 7 (무료, 유료) (0) | 2025.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