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082)
-
Web/Web Programming
2023.12.16
[Web] DNS(도메인 네임 시스템)란 무엇인가? + 사용하는 이유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이란? DNS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 -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 도메인(www.naver.com)을 IP 주소(192.168.0.1)로 변환하는 시스템입니다. 인터넷에서 통신할 때, 클라이언트는 IP 주소를 사용하여 서버와 통신하게 되는데 사용자는 IP 주소를 일일이 기억하기 어려우므로, DNS 서버에 해당 도메인에 IP 주소를 매핑하여 도메인 입력만으로도 IP주소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 기억하기 어려운 IP 주소를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으로 관리할 수 있다. 네이버 : 223.130.200.104 구글 : 142.250.199.78 DNS 서버를 ..
-
Web/Web Programming
2023.12.14
[Web] 네트워크 포트(PORT)번호란 무엇인가?
포트번호란? ex) 192.132.15.86:50921 IP주소 뒤에 : 기호와 함께 붙는 번호를 포트라고 합니다. 포트는 0~65536 사이의 숫자를 가지게 되며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를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되는 16비트의 논리적 할당을 말합니다. 포트번호는 컴퓨터의 특정 프로세스를 찾아갈 때 사용됩니다. 즉 192.132.15.86이라는 IP는 컴퓨터를 찾을 때 필요한 주소를 말하며, 50921이라는 포트는 컴퓨터 안에서 프로그램을 찾을 때 사용하는 것입니다. 포트라는 용어의 유래도 본래는 항구라는 단어에서 따온 말입니다. 항구의 입장에서 봤을 때 컨테이너를 가득 실은 배가 한 번에 둘 이상 입항하려고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A컨테이너선은 1부두로 B컨테이너선은 2부두로 유도를 시켜줘야 하겠죠...
-
Web
2023.12.10
[Web] 엔티티코드(Entity Code) 변환 사이트 추천
엔티티코드란? 엔티티코드는 HTML에서 특수기호나 다국어를 사용하기 위한 코드를 뜻하며, 모든 엔티티코드는 &으로 시작해서 ; 기호로 끝납니다. 특수기호의 엔티티코드는 https://www.toptal.com/designers/htmlarrows/ 이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엔티티 코드 자동 변환 사이트 https://mothereff.in/html-entities HTML entity encoder/decoder mothereff.in 일일이 엔티티코드를 찾아보는 게 귀찮아서 입력만 하면 엔티티코드로 변환시켜 주는 사이트가 있으면 정말 좋겠다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찾아봤는데 실제로 있더군요. 주소는 https://mothereff.in/html-entities 입니다. Decoded 부분에 ..
-
Languague/Python
2023.12.08
[Python] 파이썬 판다스(Pandas) 사용법 & 예제
판다스(Pandas)는 파이썬에서 데이터 조작 및 분석을 할 때 많이 사용되는 라이브러리입니다. 데이터분석, 데이터정렬, 그룹화, 결측치 처리 등등 유용한 기능들을 많이 제공하고 있어 데이터를 다뤄야 하는 과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판다스(Pandas)에 대한 간단한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전에 판다스(pandas)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신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셔서 설치를 먼저 하시길 바랍니다. ※ 파이썬 판다스 설치 방법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Python] 파이썬 판다스(Pandas) 설치 / 다운로드 하기 + 버전 확인 판다스의 데이터 구조 판다스의 데이터 구조에는 시리즈(Series)와 데이터(dataFrame)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
Languague/Python
2023.11.29
[Python] 파이썬 판다스(Pandas) 설치 / 다운로드 하기 + 버전 확인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핵심 라이브러리라고 할 수 있는 판다스(Pandas)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판다스(Pandas)는 파이썬의 데이터 조작 및 분석 모듈로 데이터를 다루고 표나 차트 형태의 보여주는데 사용되며 빅데이터, 머신러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판다스(Pandas) 설치 / 다운로드 1. 윈도우 검색창에서 cmd를 입력하여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시켜 줍니다. pip install pandas 2. 명령 프롬프트에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고 Enter를 누릅니다. 3. 인터넷 환경에서 파이썬 판다스를 다운로드합니다. 오래 걸리지는 않으니 조금만 기다려 줍시다. 판다스(Pandas) 설치 버전 확인 import pandas as pd print(pd.__ve..
-
Languague/Python
2023.11.28
1
[Python] 파이썬 웹 크롤링 하는법 & 간단 예제
웹 크롤링(Web Crawling)은 웹 사이트를 자동으로 서치하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프로세스를 뜻합니다. 그리고 이 웹 크롤링은 파이썬이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파이썬이 웹 크롤링에 필요한 여러 가지 라이브러리와 풍부한 생태계를 갖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중에서도 requests와 BeautifulSoup 라이브러리를 많이 사용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크롤링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파이썬에서 웹 크롤링 하는 법 라이브러리 다운로드(requests, beautifulsoup)일반적으로 파이썬 웹 크롤링은 requests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의 HTML을 가지고 오고, beautifulsoup를 사용하여 HTML코드를 사용하기 쉽게 나눠주는 파..
-
Languague/Python
2023.11.24
[Python] 파이썬 SQLite3 모듈 사용법 & 예제 총정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우리는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간단한 프로그램에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는 것이 번거로운 작업일 수 있겠죠. 이럴 때는 파이썬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SQLite3 모듈을 사용하면 별도의 DB연동 없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데요. SQLite는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라이브러리로 경량이면서 별도의 서버가 필요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내장형 데이터베이스 엔진으로 가볍게 사용하기에 좋습니다. 파이썬 SQLite3 모듈 사용법 SQLite 연결하기 import sqlite3 # SQLite 연결 객체 생성 con1 = sqlite3.connect('test.db') # 파일 DB접속 con2 = sqlite3.connect(':memory:') ..
-
Languague/Python
2023.11.16
[Python] 파이썬 부동 소수점 오차 해결 (decimal 모듈 사용법)
컴퓨터에서 소수는 어떻게 계산할 수 있을까요? 컴퓨터는 숫자를 이진법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먼저 10진법의 소수를 이진법으로 변환한 뒤 연산을 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소수는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데요. 왜냐하면 십진법의 소수를 2의 음의 제곱으로 이진법으로 변환해주어야 하는데 많은 소수들이 완벽하게 변환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무한소수가 되어버리는 경우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또한 무한소수는 변수에 저장될 수 없습니다. 메모리의 크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근사값으로 소수를 저장합니다. 메모리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소수를 최대한 저장하고 끝의 자리에서 반올림을 해서 저장하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도 불가피하게 오차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자면 0.1은 이진수로 정확히 표현되지 않아서 근..
-
Languague/Python
2023.11.12
3
[Python] 파이썬 파일 입출력(파일 생성, 읽기, 쓰기, 이어쓰기) 총정리
프로그래밍에서 유의미한 데이터가 생성되었다면 이것을 어딘가에 기록해두어야 합니다. DB를 사용하면 가장 좋겠지만 간단한 데이터들은 DB를 사용하지 않고 파일 형태(ex : txt 파일)로 어딘가에 저장해 뒀다가 사용할 수도 있겠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에서 파일 입출력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파일 입출력이란 로컬 파일의 데이터를 읽거나 반대로 파일에 데이터를 쓰는 작업을 뜻하며 쉽게 메모장이나 바이너리 파일에 텍스트를 넣거나 불러오는 과정을 뜻한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파일 열기와 닫기(open, close) # 파일 열기 # 변수명 = open("파일경로/파일이름.txt", "모드") new_file = open("sample.txt", "w") # 파일 닫기 new_fil..
-
Languague/Python
2023.10.22
2
[Python] 파이썬 클래스 상속(extends) & 예제 총정리
클래스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바로 '상속'이 된다는 점입니다. 부모 클래스를 자식이 상속받으면 별도의 정의 없이 부모 클래스의 속성과 메서드를 자식 클래스에서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상속을 받으면 얻는 이점과 파이썬에서 클래스를 상속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클래스 상속 시 얻는 이점들 코드 재사용 : 상속을 통해 부모 클래스의 속성과 메서드를 자식 클래스에서 그대로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하여 중복된 코드를 피할 수 있고 소스코드 유지보수가 쉬워집니다. 확장성 : 자식 클래스는 부모 클래스의 기능을 확장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자식 클래스에 새로운 메서드를 추가하거나 부모 클래스의 메서드를 오버라이드하여 원하는 동작을 재정의할 수 있습니다. 다형성 : 상속을..
-
Web/Web Programming 2023.12.16[Web] DNS(도메인 네임 시스템)란 무엇인가? + 사용하는 이유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이란? DNS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 -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 도메인(www.naver.com)을 IP 주소(192.168.0.1)로 변환하는 시스템입니다. 인터넷에서 통신할 때, 클라이언트는 IP 주소를 사용하여 서버와 통신하게 되는데 사용자는 IP 주소를 일일이 기억하기 어려우므로, DNS 서버에 해당 도메인에 IP 주소를 매핑하여 도메인 입력만으로도 IP주소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 기억하기 어려운 IP 주소를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으로 관리할 수 있다. 네이버 : 223.130.200.104 구글 : 142.250.199.78 DNS 서버를 ..
-
Web/Web Programming 2023.12.14[Web] 네트워크 포트(PORT)번호란 무엇인가? 포트번호란? ex) 192.132.15.86:50921 IP주소 뒤에 : 기호와 함께 붙는 번호를 포트라고 합니다. 포트는 0~65536 사이의 숫자를 가지게 되며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를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되는 16비트의 논리적 할당을 말합니다. 포트번호는 컴퓨터의 특정 프로세스를 찾아갈 때 사용됩니다. 즉 192.132.15.86이라는 IP는 컴퓨터를 찾을 때 필요한 주소를 말하며, 50921이라는 포트는 컴퓨터 안에서 프로그램을 찾을 때 사용하는 것입니다. 포트라는 용어의 유래도 본래는 항구라는 단어에서 따온 말입니다. 항구의 입장에서 봤을 때 컨테이너를 가득 실은 배가 한 번에 둘 이상 입항하려고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A컨테이너선은 1부두로 B컨테이너선은 2부두로 유도를 시켜줘야 하겠죠...
-
Web 2023.12.10[Web] 엔티티코드(Entity Code) 변환 사이트 추천 엔티티코드란? 엔티티코드는 HTML에서 특수기호나 다국어를 사용하기 위한 코드를 뜻하며, 모든 엔티티코드는 &으로 시작해서 ; 기호로 끝납니다. 특수기호의 엔티티코드는 https://www.toptal.com/designers/htmlarrows/ 이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엔티티 코드 자동 변환 사이트 https://mothereff.in/html-entities HTML entity encoder/decoder mothereff.in 일일이 엔티티코드를 찾아보는 게 귀찮아서 입력만 하면 엔티티코드로 변환시켜 주는 사이트가 있으면 정말 좋겠다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찾아봤는데 실제로 있더군요. 주소는 https://mothereff.in/html-entities 입니다. Decoded 부분에 ..
-
Languague/Python 2023.12.08[Python] 파이썬 판다스(Pandas) 사용법 & 예제 판다스(Pandas)는 파이썬에서 데이터 조작 및 분석을 할 때 많이 사용되는 라이브러리입니다. 데이터분석, 데이터정렬, 그룹화, 결측치 처리 등등 유용한 기능들을 많이 제공하고 있어 데이터를 다뤄야 하는 과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판다스(Pandas)에 대한 간단한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전에 판다스(pandas)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신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셔서 설치를 먼저 하시길 바랍니다. ※ 파이썬 판다스 설치 방법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Python] 파이썬 판다스(Pandas) 설치 / 다운로드 하기 + 버전 확인 판다스의 데이터 구조 판다스의 데이터 구조에는 시리즈(Series)와 데이터(dataFrame)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
Languague/Python 2023.11.29[Python] 파이썬 판다스(Pandas) 설치 / 다운로드 하기 + 버전 확인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핵심 라이브러리라고 할 수 있는 판다스(Pandas)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판다스(Pandas)는 파이썬의 데이터 조작 및 분석 모듈로 데이터를 다루고 표나 차트 형태의 보여주는데 사용되며 빅데이터, 머신러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판다스(Pandas) 설치 / 다운로드 1. 윈도우 검색창에서 cmd를 입력하여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시켜 줍니다. pip install pandas 2. 명령 프롬프트에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고 Enter를 누릅니다. 3. 인터넷 환경에서 파이썬 판다스를 다운로드합니다. 오래 걸리지는 않으니 조금만 기다려 줍시다. 판다스(Pandas) 설치 버전 확인 import pandas as pd print(pd.__ve..
-
Languague/Python 2023.11.28 1[Python] 파이썬 웹 크롤링 하는법 & 간단 예제 웹 크롤링(Web Crawling)은 웹 사이트를 자동으로 서치하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프로세스를 뜻합니다. 그리고 이 웹 크롤링은 파이썬이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파이썬이 웹 크롤링에 필요한 여러 가지 라이브러리와 풍부한 생태계를 갖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중에서도 requests와 BeautifulSoup 라이브러리를 많이 사용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크롤링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파이썬에서 웹 크롤링 하는 법 라이브러리 다운로드(requests, beautifulsoup)일반적으로 파이썬 웹 크롤링은 requests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의 HTML을 가지고 오고, beautifulsoup를 사용하여 HTML코드를 사용하기 쉽게 나눠주는 파..
-
Languague/Python 2023.11.24[Python] 파이썬 SQLite3 모듈 사용법 & 예제 총정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우리는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간단한 프로그램에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는 것이 번거로운 작업일 수 있겠죠. 이럴 때는 파이썬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SQLite3 모듈을 사용하면 별도의 DB연동 없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데요. SQLite는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라이브러리로 경량이면서 별도의 서버가 필요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내장형 데이터베이스 엔진으로 가볍게 사용하기에 좋습니다. 파이썬 SQLite3 모듈 사용법 SQLite 연결하기 import sqlite3 # SQLite 연결 객체 생성 con1 = sqlite3.connect('test.db') # 파일 DB접속 con2 = sqlite3.connect(':memory:') ..
-
Languague/Python 2023.11.16[Python] 파이썬 부동 소수점 오차 해결 (decimal 모듈 사용법) 컴퓨터에서 소수는 어떻게 계산할 수 있을까요? 컴퓨터는 숫자를 이진법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먼저 10진법의 소수를 이진법으로 변환한 뒤 연산을 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소수는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데요. 왜냐하면 십진법의 소수를 2의 음의 제곱으로 이진법으로 변환해주어야 하는데 많은 소수들이 완벽하게 변환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무한소수가 되어버리는 경우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또한 무한소수는 변수에 저장될 수 없습니다. 메모리의 크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근사값으로 소수를 저장합니다. 메모리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소수를 최대한 저장하고 끝의 자리에서 반올림을 해서 저장하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도 불가피하게 오차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자면 0.1은 이진수로 정확히 표현되지 않아서 근..
-
Languague/Python 2023.11.12 3[Python] 파이썬 파일 입출력(파일 생성, 읽기, 쓰기, 이어쓰기) 총정리 프로그래밍에서 유의미한 데이터가 생성되었다면 이것을 어딘가에 기록해두어야 합니다. DB를 사용하면 가장 좋겠지만 간단한 데이터들은 DB를 사용하지 않고 파일 형태(ex : txt 파일)로 어딘가에 저장해 뒀다가 사용할 수도 있겠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에서 파일 입출력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파일 입출력이란 로컬 파일의 데이터를 읽거나 반대로 파일에 데이터를 쓰는 작업을 뜻하며 쉽게 메모장이나 바이너리 파일에 텍스트를 넣거나 불러오는 과정을 뜻한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파일 열기와 닫기(open, close) # 파일 열기 # 변수명 = open("파일경로/파일이름.txt", "모드") new_file = open("sample.txt", "w") # 파일 닫기 new_fil..
-
Languague/Python 2023.10.22 2[Python] 파이썬 클래스 상속(extends) & 예제 총정리 클래스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바로 '상속'이 된다는 점입니다. 부모 클래스를 자식이 상속받으면 별도의 정의 없이 부모 클래스의 속성과 메서드를 자식 클래스에서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상속을 받으면 얻는 이점과 파이썬에서 클래스를 상속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클래스 상속 시 얻는 이점들 코드 재사용 : 상속을 통해 부모 클래스의 속성과 메서드를 자식 클래스에서 그대로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하여 중복된 코드를 피할 수 있고 소스코드 유지보수가 쉬워집니다. 확장성 : 자식 클래스는 부모 클래스의 기능을 확장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자식 클래스에 새로운 메서드를 추가하거나 부모 클래스의 메서드를 오버라이드하여 원하는 동작을 재정의할 수 있습니다. 다형성 : 상속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