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092)
-
Languague/C , C++ , C#
2021.02.01
[C언어/C++] 상수 선언하기 const, define의 차이점
상수란? 상수는 변하지 않는 값을 뜻합니다. 값을 계속 바꿀 수 있는 변수와는 달리 상수는 처음 선언할 때 값을 할당받게 되면서 그 다음부터는 값을 바꿀 수가 없습니다. 그렇기에 상수를 선언하실때는 꼭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를 같이 해야만 합니다. 상수는 값을 변경시키지 못하도록 제한하고 싶을때 사용합니다. 코딩을 하다보면 고정되어 있어야 할 값을 실수로 값을 바꿀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렇기에 변하지 않을 값이라면 상수로 만들어줌으로써 값을 바꾸는 것을 방지하고 코드의 의도를 명확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상수 사용법 #include // define은 전처리기이므로 main밖에 써야함 (매크로 상수) #define PI 3.141592 #define COL 100 #define ROW 200 void ma..
-
Languague/C , C++ , C#
2021.02.01
[C언어/C++] const 포인터와 키워드 위치에 따른 차이점
const 포인터란? const라는 키워드는 변수를 상수화 시킬때 사용하는 키워드입니다. 이렇게 상수화 된 변수는 이후 변경이 불가능하며 포인터 변수에 const 키워드를 붙여도 같은 동작을 합니다. 다만 const의 위치가 어디로 가느냐에 따라 의미가 다릅니다. int a = 100; //1) const 자료형 변수명 = 초기값 const int *ptr = &a; //2) 자료형 const 변수명 = 초기값 int const *ptr2 = &a; //3) const 자료형 const 변수명 = 초기값 const int const *ptr3 = &a; const 포인터에서 const 키워드는 위와 같이 3가지 형태로 붙일 수 있습니다. const 키워드의 위치별 의미 상수 포인터(const pointe..
-
Languague/C , C++ , C#
2021.01.31
[C언어/C++] 이중 포인터 사용법 & 예제
다중 포인터란 2차원 이상의 포인터 변수를 의미합니다. 포인터 변수도 메모리위에 올라가야하기에 주소값이 있습니다. 이러한 포인터의 메모리 주소값을 참조하는 포인터의 포인터를 이중 포인터라고 하며 이런 원리로 무한대의 다차원 포인터를 만들 수 있습니다. 다만 이중포인터까지만 종종 사용되고 실질적으로 2차원을 넘어서는 고차원 포인터는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중포인터 사용법 int **ptr = NULL; 포인터를 선언할 때 ** 이런식으로 자료형 뒤에 *을 두 번 사용하면 포인터의 포인터(이중 포인터)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이중 포인터 사용 예제 #include void main() { char ch = 'A'; char* ptr = NULL; char** ptr2 = NULL; ptr = &ch; //..
-
Languague/C , C++ , C#
2021.01.30
3
[C언어/C++] 포인터 배열, 배열 포인터의 사용법과 차이점
포인터 배열이란? 포인터 배열이란 말 그대로 포인터를 배열로 나열해놓은 것을 말합니다. 즉 포인터 변수의 배열이죠. 각각의 index에 여러 개의 포인터를 넣을 수 있습니다. char* arr[5]; int* arr[5]; void* arr[5]; 위와 같이 선언하여 사용합니다. char* arr[5]는 5개의 char형 포인터를, int* arr[5]는 int형 포인터 5개를 저장하고 있는 배열이 됩니다. 그냥 단순 주소값만 저장하고 싶을 때는 주로 void로 선언하며 이렇게 선언할 경우 이후 어떤 타입이든지 변환이 가능합니다. 포인터 배열 활용 예제 #include int main() { int num1 = 100; int num2 = 200; int num3 = 300; int* arr[3] = {..
-
Languague/C , C++ , C#
2021.01.29
2
[C언어/C++] 비트 쪼개기 (Bit Split) 사용법 & 예제 (비트연산 활용)
int형의 값의 범위는 –2,147,483,648 ~ 2,147,483,647입니다. 이렇게 큰 숫자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죠. 하지만 우리는 int타입에 이렇게 큰 값을 잘 넣어서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그렇다면 그만큼의 공간이 낭비되는 셈입니다. 그렇다면 int형을 반으로 나눠서 사용할 수는 없을까요? 가능합니다. 비트 연산자의 간단한 기법을 통해서 말이죠. 이렇게 된다면 하나의 int값 안에 2개의 값을 넣을수가 있게 되겠죠. 참고로 이러한 방법들은 실제 코딩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메모리를 타이트하게 잡고싶다면 __int8, __int16과 같은 변수타입을 선언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비트 쪼개기 (Bit Split) 사용법 & 예제 (비트연산 활용) #include int main() { u..
-
Languague/C , C++ , C#
2021.01.29
[C언어/C++] 비트 플래그 (Bit Flag) 사용법 & 예제 (비트연산 활용)
2진수는 숫자를 표현할때 0과 1 두 가지 값으로만 표현합니다. 여기서 0과 1을 On / Off로 사용하는 개념을 비트 플래그라고 합니다. 이것을 어디에다 사용하냐?라고 반문하실 수도 있는데 전혀 사용성이 없는 것은 아니고 한 번에 여러 가지 속성을 동시에 지정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 중에 하나가 비트 플래그입니다. 비트 플래그를 사용하면 좀 더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순 비교를 해보아도 8개의 상태를 저장하려면 bool 타입 변수 8개를 선언해야 할텐데 8비트의 char을 비트단위로 쪼개서 저장한다면 1개의 char 변수(1byte = 8bit)만으로도 8개의 상태를 저장할 수가 있죠. 비트 플래그 (Bit Flag) 사용 간단한 예제 #include int main(..
-
Languague/C , C++ , C#
2021.01.28
[C언어/C++]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 출력하기 (비트연산 활용)
8진수나 16진수의 경우와는 달리 C언어에서는 2진수를 출력해줄 수 있는 서식 문자가 없습니다. 그렇기에 2진수는 직접 구해서 출력해야 하는데 일일이 2로 나누어 거꾸로 읽지 않아도 아래와 같이 비트 연산자를 사용하면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비트연산 활용) #include int main() { unsigned int num; printf("정수를 입력해주세요\n"); scanf_s("%d", &num); printf("2진수 변환 : "); //이진수 출력 for (int i = 7; i >= 0; --i) { //8자리 숫자까지 나타냄 int result = num >> i & 1; printf("%d", result); } } 52를 바이너리로 8자리 숫자까..
-
Languague/C , C++ , C#
2021.01.28
[C언어/C++] 10진수를 8진수, 16진수로 출력하기
C언어에서는 10진수를 8진수나 16진수로 변환해주는 서식문자를 제공합니다. 8진수는 %뒤에 o를 붙이면 되고 16진수는 %뒤에 x를 붙이면 됩니다. 또한 출력한 값이 8진수인지 16진수인지 %뒤에 #을 붙이면 알 수 있게 출력할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원하는 자릿수까지 0으로 채워서 출력할수도 있습니다. 아래 예제를 확인해주세요. 입력받은 10진수를 8진수, 16진수로 출력하기 #include int main() { int num; printf("정수를 입력해주세요\n"); scanf_s("%d", &num); printf("10진수 : %d\n", num); // 서식문자 : %d printf("8진수 : %o\n", num); // 서식문자 : %o printf("16진수(소문자) : %x\n", n..
-
ETC.
2021.01.27
1
[수학] 보수 계산법 (1의보수, 2의보수) + 필요한 이유
보수란 보수는 보충을 해주는 수를 의미합니다. 현재의 숫자에서 자릿수가 1단계 올라갈 수 있는 수가 몇인지를 구하시면 됩니다. 보수 구하기 예시 10진수 1의 보수 : 1+9=10 -> 1의 보수 = 9 3의 보수 : 3+7=10 -> 3의 보수 = 7 2진수 1₂의 보수 : 1₂+ 1₂=10₂ -> 1₂의 보수 = 1₂ 10₂의 보수 : 1001₂+0111₂=11110₂ -> 1001₂의 보수 = 0111₂ 컴퓨터에서 보수가 필요한 이유 컴퓨터는 이진수만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음수는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요? 음수를 표현하기 위해 보수가 사용됩니다. 컴퓨터에서 보수는 양수를 음수화로 표현하기 위한 방법이 됩니다. 즉, 보충하는 수. 양수에 대한 보수가 음수입니다. 컴퓨터의 CPU는 뺄셈도 모..
-
ETC.
2021.01.27
2
[수학] 진법 변환 방법 정리 + 소수점 (2진수, 8진수, 10진수, 16진수)
진법이란? 진법이란 수를 표기하는 기수법의 하나로 몇 개의 기본 숫자를 이용하여 수를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자리값이 올라감에 따라서 수가 일정하게 커지는 규칙을 이용하고 수를 표시합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1 ~ 9까지의 숫자를 사용하여 수를 나타내는 방법을 10진법이라고 하며 프로그래밍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진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위치의 가중치 모든 진법은 숫자의 위치에 따라 가중치가 달라지는 수입니다. 이 성질은 모든 진법에서 동일하게 적용되며 이 식을 사용하면 모든 진법들을 10진법으로 빠르게 바꿀 수 있습니다. 위의 경우 12345라는 10진법이 나오기 아래와 같은 식이 구해져야합니다. 계산식 : (1 * 10⁴) + (2 * 10³) + (3 * 10²) + (4 * 10) + 5 ..
-
Languague/C , C++ , C# 2021.02.01[C언어/C++] 상수 선언하기 const, define의 차이점 상수란? 상수는 변하지 않는 값을 뜻합니다. 값을 계속 바꿀 수 있는 변수와는 달리 상수는 처음 선언할 때 값을 할당받게 되면서 그 다음부터는 값을 바꿀 수가 없습니다. 그렇기에 상수를 선언하실때는 꼭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를 같이 해야만 합니다. 상수는 값을 변경시키지 못하도록 제한하고 싶을때 사용합니다. 코딩을 하다보면 고정되어 있어야 할 값을 실수로 값을 바꿀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렇기에 변하지 않을 값이라면 상수로 만들어줌으로써 값을 바꾸는 것을 방지하고 코드의 의도를 명확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상수 사용법 #include // define은 전처리기이므로 main밖에 써야함 (매크로 상수) #define PI 3.141592 #define COL 100 #define ROW 200 void ma.. -
Languague/C , C++ , C# 2021.02.01[C언어/C++] const 포인터와 키워드 위치에 따른 차이점 const 포인터란? const라는 키워드는 변수를 상수화 시킬때 사용하는 키워드입니다. 이렇게 상수화 된 변수는 이후 변경이 불가능하며 포인터 변수에 const 키워드를 붙여도 같은 동작을 합니다. 다만 const의 위치가 어디로 가느냐에 따라 의미가 다릅니다. int a = 100; //1) const 자료형 변수명 = 초기값 const int *ptr = &a; //2) 자료형 const 변수명 = 초기값 int const *ptr2 = &a; //3) const 자료형 const 변수명 = 초기값 const int const *ptr3 = &a; const 포인터에서 const 키워드는 위와 같이 3가지 형태로 붙일 수 있습니다. const 키워드의 위치별 의미 상수 포인터(const pointe.. -
Languague/C , C++ , C# 2021.01.31[C언어/C++] 이중 포인터 사용법 & 예제 다중 포인터란 2차원 이상의 포인터 변수를 의미합니다. 포인터 변수도 메모리위에 올라가야하기에 주소값이 있습니다. 이러한 포인터의 메모리 주소값을 참조하는 포인터의 포인터를 이중 포인터라고 하며 이런 원리로 무한대의 다차원 포인터를 만들 수 있습니다. 다만 이중포인터까지만 종종 사용되고 실질적으로 2차원을 넘어서는 고차원 포인터는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중포인터 사용법 int **ptr = NULL; 포인터를 선언할 때 ** 이런식으로 자료형 뒤에 *을 두 번 사용하면 포인터의 포인터(이중 포인터)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이중 포인터 사용 예제 #include void main() { char ch = 'A'; char* ptr = NULL; char** ptr2 = NULL; ptr = &ch; //.. -
Languague/C , C++ , C# 2021.01.30 3[C언어/C++] 포인터 배열, 배열 포인터의 사용법과 차이점 포인터 배열이란? 포인터 배열이란 말 그대로 포인터를 배열로 나열해놓은 것을 말합니다. 즉 포인터 변수의 배열이죠. 각각의 index에 여러 개의 포인터를 넣을 수 있습니다. char* arr[5]; int* arr[5]; void* arr[5]; 위와 같이 선언하여 사용합니다. char* arr[5]는 5개의 char형 포인터를, int* arr[5]는 int형 포인터 5개를 저장하고 있는 배열이 됩니다. 그냥 단순 주소값만 저장하고 싶을 때는 주로 void로 선언하며 이렇게 선언할 경우 이후 어떤 타입이든지 변환이 가능합니다. 포인터 배열 활용 예제 #include int main() { int num1 = 100; int num2 = 200; int num3 = 300; int* arr[3] = {.. -
Languague/C , C++ , C# 2021.01.29 2[C언어/C++] 비트 쪼개기 (Bit Split) 사용법 & 예제 (비트연산 활용) int형의 값의 범위는 –2,147,483,648 ~ 2,147,483,647입니다. 이렇게 큰 숫자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죠. 하지만 우리는 int타입에 이렇게 큰 값을 잘 넣어서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그렇다면 그만큼의 공간이 낭비되는 셈입니다. 그렇다면 int형을 반으로 나눠서 사용할 수는 없을까요? 가능합니다. 비트 연산자의 간단한 기법을 통해서 말이죠. 이렇게 된다면 하나의 int값 안에 2개의 값을 넣을수가 있게 되겠죠. 참고로 이러한 방법들은 실제 코딩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메모리를 타이트하게 잡고싶다면 __int8, __int16과 같은 변수타입을 선언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비트 쪼개기 (Bit Split) 사용법 & 예제 (비트연산 활용) #include int main() { u.. -
Languague/C , C++ , C# 2021.01.29[C언어/C++] 비트 플래그 (Bit Flag) 사용법 & 예제 (비트연산 활용) 2진수는 숫자를 표현할때 0과 1 두 가지 값으로만 표현합니다. 여기서 0과 1을 On / Off로 사용하는 개념을 비트 플래그라고 합니다. 이것을 어디에다 사용하냐?라고 반문하실 수도 있는데 전혀 사용성이 없는 것은 아니고 한 번에 여러 가지 속성을 동시에 지정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 중에 하나가 비트 플래그입니다. 비트 플래그를 사용하면 좀 더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순 비교를 해보아도 8개의 상태를 저장하려면 bool 타입 변수 8개를 선언해야 할텐데 8비트의 char을 비트단위로 쪼개서 저장한다면 1개의 char 변수(1byte = 8bit)만으로도 8개의 상태를 저장할 수가 있죠. 비트 플래그 (Bit Flag) 사용 간단한 예제 #include int main(.. -
Languague/C , C++ , C# 2021.01.28[C언어/C++]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 출력하기 (비트연산 활용) 8진수나 16진수의 경우와는 달리 C언어에서는 2진수를 출력해줄 수 있는 서식 문자가 없습니다. 그렇기에 2진수는 직접 구해서 출력해야 하는데 일일이 2로 나누어 거꾸로 읽지 않아도 아래와 같이 비트 연산자를 사용하면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비트연산 활용) #include int main() { unsigned int num; printf("정수를 입력해주세요\n"); scanf_s("%d", &num); printf("2진수 변환 : "); //이진수 출력 for (int i = 7; i >= 0; --i) { //8자리 숫자까지 나타냄 int result = num >> i & 1; printf("%d", result); } } 52를 바이너리로 8자리 숫자까.. -
Languague/C , C++ , C# 2021.01.28[C언어/C++] 10진수를 8진수, 16진수로 출력하기 C언어에서는 10진수를 8진수나 16진수로 변환해주는 서식문자를 제공합니다. 8진수는 %뒤에 o를 붙이면 되고 16진수는 %뒤에 x를 붙이면 됩니다. 또한 출력한 값이 8진수인지 16진수인지 %뒤에 #을 붙이면 알 수 있게 출력할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원하는 자릿수까지 0으로 채워서 출력할수도 있습니다. 아래 예제를 확인해주세요. 입력받은 10진수를 8진수, 16진수로 출력하기 #include int main() { int num; printf("정수를 입력해주세요\n"); scanf_s("%d", &num); printf("10진수 : %d\n", num); // 서식문자 : %d printf("8진수 : %o\n", num); // 서식문자 : %o printf("16진수(소문자) : %x\n", n.. -
ETC. 2021.01.27 1[수학] 보수 계산법 (1의보수, 2의보수) + 필요한 이유 보수란 보수는 보충을 해주는 수를 의미합니다. 현재의 숫자에서 자릿수가 1단계 올라갈 수 있는 수가 몇인지를 구하시면 됩니다. 보수 구하기 예시 10진수 1의 보수 : 1+9=10 -> 1의 보수 = 9 3의 보수 : 3+7=10 -> 3의 보수 = 7 2진수 1₂의 보수 : 1₂+ 1₂=10₂ -> 1₂의 보수 = 1₂ 10₂의 보수 : 1001₂+0111₂=11110₂ -> 1001₂의 보수 = 0111₂ 컴퓨터에서 보수가 필요한 이유 컴퓨터는 이진수만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음수는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요? 음수를 표현하기 위해 보수가 사용됩니다. 컴퓨터에서 보수는 양수를 음수화로 표현하기 위한 방법이 됩니다. 즉, 보충하는 수. 양수에 대한 보수가 음수입니다. 컴퓨터의 CPU는 뺄셈도 모.. -
ETC. 2021.01.27 2[수학] 진법 변환 방법 정리 + 소수점 (2진수, 8진수, 10진수, 16진수) 진법이란? 진법이란 수를 표기하는 기수법의 하나로 몇 개의 기본 숫자를 이용하여 수를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자리값이 올라감에 따라서 수가 일정하게 커지는 규칙을 이용하고 수를 표시합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1 ~ 9까지의 숫자를 사용하여 수를 나타내는 방법을 10진법이라고 하며 프로그래밍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진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위치의 가중치 모든 진법은 숫자의 위치에 따라 가중치가 달라지는 수입니다. 이 성질은 모든 진법에서 동일하게 적용되며 이 식을 사용하면 모든 진법들을 10진법으로 빠르게 바꿀 수 있습니다. 위의 경우 12345라는 10진법이 나오기 아래와 같은 식이 구해져야합니다. 계산식 : (1 * 10⁴) + (2 * 10³) + (3 * 10²) + (4 * 10)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