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084)
-
Web/Web Programming
2023.12.24
[Web] HTTP 요청 메서드(Method) 정리 (GET, POST, PUT, PATCH, DELETE)
HTTP 요청 메서드는 클라이언트가 서버 측에 요청하는 HTTP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식을 뜻합니다. 즉 서버에 HTTP 메서드를 요청할 때 서버에서 기대하는 행동을 정의해서 보낸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이 HTTP 메서드가 필요한 이유는 서버 측에서 HTTP 메시지의 의미를 쉽게 파악하기 위해서입니다. 예를 들어 회원관리를 하는 관리자 사이트가 있다고 해봅시다. 그러면 회원들의 정보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HTTP 요청을 서버에 날려야 할 텐데, 같은 HTTP 메시지에 메서드만 PEATCH(수정), DELETE(삭제)냐에 서버는 요청 메시지의 의미를 구분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른 동작을 명확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HTTP 메서드는 RESTful API에서 자주 사용..
-
Web/Web Programming
2023.12.19
3
[Web] URI, URL, URN의 정의와 차이점에 대하여
오늘날의 인터넷에는 이미지, 동영상, 문서 등 다양한 종류들의 자원들이 웹 상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자원들을 각각 식별하기 위해서 특별한 명칭 또는 주소가 필요하게 되었는데요. 이러한 고민에서 출발한 것이 URI, URL, URN이라는 용어들입니다. URN은 오늘날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지만 웹 개발자라면 URI나 URL은 굉장히 많이 사용하게 되는 용어로 꼭 알아둬야 하는 개념입니다.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란? Uniform : 리소스 식별하는 통일된 방식 Resource : 자원, URL로 식별할 수 있는 모든 것 Identifier : 다른 항목과 구분하는데 필요한 정보 URI는 Uniform Resource Identifier의 줄임말로 번역해 보자..
-
Web/Web Programming
2023.12.16
[Web] DNS(도메인 네임 시스템)란 무엇인가? + 사용하는 이유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이란? DNS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 -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 도메인(www.naver.com)을 IP 주소(192.168.0.1)로 변환하는 시스템입니다. 인터넷에서 통신할 때, 클라이언트는 IP 주소를 사용하여 서버와 통신하게 되는데 사용자는 IP 주소를 일일이 기억하기 어려우므로, DNS 서버에 해당 도메인에 IP 주소를 매핑하여 도메인 입력만으로도 IP주소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 기억하기 어려운 IP 주소를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으로 관리할 수 있다. 네이버 : 223.130.200.104 구글 : 142.250.199.78 DNS 서버를 ..
-
Web/Web Programming
2023.12.14
[Web] 네트워크 포트(PORT)번호란 무엇인가?
포트번호란? ex) 192.132.15.86:50921 IP주소 뒤에 : 기호와 함께 붙는 번호를 포트라고 합니다. 포트는 0~65536 사이의 숫자를 가지게 되며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를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되는 16비트의 논리적 할당을 말합니다. 포트번호는 컴퓨터의 특정 프로세스를 찾아갈 때 사용됩니다. 즉 192.132.15.86이라는 IP는 컴퓨터를 찾을 때 필요한 주소를 말하며, 50921이라는 포트는 컴퓨터 안에서 프로그램을 찾을 때 사용하는 것입니다. 포트라는 용어의 유래도 본래는 항구라는 단어에서 따온 말입니다. 항구의 입장에서 봤을 때 컨테이너를 가득 실은 배가 한 번에 둘 이상 입항하려고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A컨테이너선은 1부두로 B컨테이너선은 2부두로 유도를 시켜줘야 하겠죠...
-
Web
2023.12.10
[Web] 엔티티코드(Entity Code) 변환 사이트 추천
엔티티코드란? 엔티티코드는 HTML에서 특수기호나 다국어를 사용하기 위한 코드를 뜻하며, 모든 엔티티코드는 &으로 시작해서 ; 기호로 끝납니다. 특수기호의 엔티티코드는 https://www.toptal.com/designers/htmlarrows/ 이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엔티티 코드 자동 변환 사이트 https://mothereff.in/html-entities HTML entity encoder/decoder mothereff.in 일일이 엔티티코드를 찾아보는 게 귀찮아서 입력만 하면 엔티티코드로 변환시켜 주는 사이트가 있으면 정말 좋겠다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찾아봤는데 실제로 있더군요. 주소는 https://mothereff.in/html-entities 입니다. Decoded 부분에 ..
-
Languague/Python
2023.12.08
[Python] 파이썬 판다스(Pandas) 사용법 & 예제
판다스(Pandas)는 파이썬에서 데이터 조작 및 분석을 할 때 많이 사용되는 라이브러리입니다. 데이터분석, 데이터정렬, 그룹화, 결측치 처리 등등 유용한 기능들을 많이 제공하고 있어 데이터를 다뤄야 하는 과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판다스(Pandas)에 대한 간단한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전에 판다스(pandas)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신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셔서 설치를 먼저 하시길 바랍니다. ※ 파이썬 판다스 설치 방법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Python] 파이썬 판다스(Pandas) 설치 / 다운로드 하기 + 버전 확인 판다스의 데이터 구조 판다스의 데이터 구조에는 시리즈(Series)와 데이터(dataFrame)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
Languague/Python
2023.11.29
[Python] 파이썬 판다스(Pandas) 설치 / 다운로드 하기 + 버전 확인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핵심 라이브러리라고 할 수 있는 판다스(Pandas)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판다스(Pandas)는 파이썬의 데이터 조작 및 분석 모듈로 데이터를 다루고 표나 차트 형태의 보여주는데 사용되며 빅데이터, 머신러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판다스(Pandas) 설치 / 다운로드 1. 윈도우 검색창에서 cmd를 입력하여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시켜 줍니다. pip install pandas 2. 명령 프롬프트에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고 Enter를 누릅니다. 3. 인터넷 환경에서 파이썬 판다스를 다운로드합니다. 오래 걸리지는 않으니 조금만 기다려 줍시다. 판다스(Pandas) 설치 버전 확인 import pandas as pd print(pd.__ve..
-
Languague/Python
2023.11.28
1
[Python] 파이썬 웹 크롤링 하는법 & 간단 예제
웹 크롤링(Web Crawling)은 웹 사이트를 자동으로 서치하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프로세스를 뜻합니다. 그리고 이 웹 크롤링은 파이썬이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파이썬이 웹 크롤링에 필요한 여러 가지 라이브러리와 풍부한 생태계를 갖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중에서도 requests와 BeautifulSoup 라이브러리를 많이 사용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크롤링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파이썬에서 웹 크롤링 하는 법 라이브러리 다운로드(requests, beautifulsoup)일반적으로 파이썬 웹 크롤링은 requests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의 HTML을 가지고 오고, beautifulsoup를 사용하여 HTML코드를 사용하기 쉽게 나눠주는 파..
-
Languague/Python
2023.11.24
[Python] 파이썬 SQLite3 모듈 사용법 & 예제 총정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우리는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간단한 프로그램에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는 것이 번거로운 작업일 수 있겠죠. 이럴 때는 파이썬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SQLite3 모듈을 사용하면 별도의 DB연동 없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데요. SQLite는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라이브러리로 경량이면서 별도의 서버가 필요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내장형 데이터베이스 엔진으로 가볍게 사용하기에 좋습니다. 파이썬 SQLite3 모듈 사용법 SQLite 연결하기 import sqlite3 # SQLite 연결 객체 생성 con1 = sqlite3.connect('test.db') # 파일 DB접속 con2 = sqlite3.connect(':memory:') ..
-
Languague/Python
2023.11.16
[Python] 파이썬 부동 소수점 오차 해결 (decimal 모듈 사용법)
컴퓨터에서 소수는 어떻게 계산할 수 있을까요? 컴퓨터는 숫자를 이진법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먼저 10진법의 소수를 이진법으로 변환한 뒤 연산을 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소수는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데요. 왜냐하면 십진법의 소수를 2의 음의 제곱으로 이진법으로 변환해주어야 하는데 많은 소수들이 완벽하게 변환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무한소수가 되어버리는 경우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또한 무한소수는 변수에 저장될 수 없습니다. 메모리의 크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근사값으로 소수를 저장합니다. 메모리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소수를 최대한 저장하고 끝의 자리에서 반올림을 해서 저장하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도 불가피하게 오차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자면 0.1은 이진수로 정확히 표현되지 않아서 근..
-
Web/Web Programming 2023.12.24[Web] HTTP 요청 메서드(Method) 정리 (GET, POST, PUT, PATCH, DELETE) HTTP 요청 메서드는 클라이언트가 서버 측에 요청하는 HTTP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식을 뜻합니다. 즉 서버에 HTTP 메서드를 요청할 때 서버에서 기대하는 행동을 정의해서 보낸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이 HTTP 메서드가 필요한 이유는 서버 측에서 HTTP 메시지의 의미를 쉽게 파악하기 위해서입니다. 예를 들어 회원관리를 하는 관리자 사이트가 있다고 해봅시다. 그러면 회원들의 정보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HTTP 요청을 서버에 날려야 할 텐데, 같은 HTTP 메시지에 메서드만 PEATCH(수정), DELETE(삭제)냐에 서버는 요청 메시지의 의미를 구분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른 동작을 명확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HTTP 메서드는 RESTful API에서 자주 사용..
-
Web/Web Programming 2023.12.19 3[Web] URI, URL, URN의 정의와 차이점에 대하여 오늘날의 인터넷에는 이미지, 동영상, 문서 등 다양한 종류들의 자원들이 웹 상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자원들을 각각 식별하기 위해서 특별한 명칭 또는 주소가 필요하게 되었는데요. 이러한 고민에서 출발한 것이 URI, URL, URN이라는 용어들입니다. URN은 오늘날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지만 웹 개발자라면 URI나 URL은 굉장히 많이 사용하게 되는 용어로 꼭 알아둬야 하는 개념입니다.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란? Uniform : 리소스 식별하는 통일된 방식 Resource : 자원, URL로 식별할 수 있는 모든 것 Identifier : 다른 항목과 구분하는데 필요한 정보 URI는 Uniform Resource Identifier의 줄임말로 번역해 보자..
-
Web/Web Programming 2023.12.16[Web] DNS(도메인 네임 시스템)란 무엇인가? + 사용하는 이유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이란? DNS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 -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 도메인(www.naver.com)을 IP 주소(192.168.0.1)로 변환하는 시스템입니다. 인터넷에서 통신할 때, 클라이언트는 IP 주소를 사용하여 서버와 통신하게 되는데 사용자는 IP 주소를 일일이 기억하기 어려우므로, DNS 서버에 해당 도메인에 IP 주소를 매핑하여 도메인 입력만으로도 IP주소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 기억하기 어려운 IP 주소를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으로 관리할 수 있다. 네이버 : 223.130.200.104 구글 : 142.250.199.78 DNS 서버를 ..
-
Web/Web Programming 2023.12.14[Web] 네트워크 포트(PORT)번호란 무엇인가? 포트번호란? ex) 192.132.15.86:50921 IP주소 뒤에 : 기호와 함께 붙는 번호를 포트라고 합니다. 포트는 0~65536 사이의 숫자를 가지게 되며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를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되는 16비트의 논리적 할당을 말합니다. 포트번호는 컴퓨터의 특정 프로세스를 찾아갈 때 사용됩니다. 즉 192.132.15.86이라는 IP는 컴퓨터를 찾을 때 필요한 주소를 말하며, 50921이라는 포트는 컴퓨터 안에서 프로그램을 찾을 때 사용하는 것입니다. 포트라는 용어의 유래도 본래는 항구라는 단어에서 따온 말입니다. 항구의 입장에서 봤을 때 컨테이너를 가득 실은 배가 한 번에 둘 이상 입항하려고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A컨테이너선은 1부두로 B컨테이너선은 2부두로 유도를 시켜줘야 하겠죠...
-
Web 2023.12.10[Web] 엔티티코드(Entity Code) 변환 사이트 추천 엔티티코드란? 엔티티코드는 HTML에서 특수기호나 다국어를 사용하기 위한 코드를 뜻하며, 모든 엔티티코드는 &으로 시작해서 ; 기호로 끝납니다. 특수기호의 엔티티코드는 https://www.toptal.com/designers/htmlarrows/ 이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엔티티 코드 자동 변환 사이트 https://mothereff.in/html-entities HTML entity encoder/decoder mothereff.in 일일이 엔티티코드를 찾아보는 게 귀찮아서 입력만 하면 엔티티코드로 변환시켜 주는 사이트가 있으면 정말 좋겠다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찾아봤는데 실제로 있더군요. 주소는 https://mothereff.in/html-entities 입니다. Decoded 부분에 ..
-
Languague/Python 2023.12.08[Python] 파이썬 판다스(Pandas) 사용법 & 예제 판다스(Pandas)는 파이썬에서 데이터 조작 및 분석을 할 때 많이 사용되는 라이브러리입니다. 데이터분석, 데이터정렬, 그룹화, 결측치 처리 등등 유용한 기능들을 많이 제공하고 있어 데이터를 다뤄야 하는 과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판다스(Pandas)에 대한 간단한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전에 판다스(pandas)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신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셔서 설치를 먼저 하시길 바랍니다. ※ 파이썬 판다스 설치 방법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Python] 파이썬 판다스(Pandas) 설치 / 다운로드 하기 + 버전 확인 판다스의 데이터 구조 판다스의 데이터 구조에는 시리즈(Series)와 데이터(dataFrame)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
Languague/Python 2023.11.29[Python] 파이썬 판다스(Pandas) 설치 / 다운로드 하기 + 버전 확인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핵심 라이브러리라고 할 수 있는 판다스(Pandas)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판다스(Pandas)는 파이썬의 데이터 조작 및 분석 모듈로 데이터를 다루고 표나 차트 형태의 보여주는데 사용되며 빅데이터, 머신러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판다스(Pandas) 설치 / 다운로드 1. 윈도우 검색창에서 cmd를 입력하여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시켜 줍니다. pip install pandas 2. 명령 프롬프트에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고 Enter를 누릅니다. 3. 인터넷 환경에서 파이썬 판다스를 다운로드합니다. 오래 걸리지는 않으니 조금만 기다려 줍시다. 판다스(Pandas) 설치 버전 확인 import pandas as pd print(pd.__ve..
-
Languague/Python 2023.11.28 1[Python] 파이썬 웹 크롤링 하는법 & 간단 예제 웹 크롤링(Web Crawling)은 웹 사이트를 자동으로 서치하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프로세스를 뜻합니다. 그리고 이 웹 크롤링은 파이썬이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파이썬이 웹 크롤링에 필요한 여러 가지 라이브러리와 풍부한 생태계를 갖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중에서도 requests와 BeautifulSoup 라이브러리를 많이 사용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크롤링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파이썬에서 웹 크롤링 하는 법 라이브러리 다운로드(requests, beautifulsoup)일반적으로 파이썬 웹 크롤링은 requests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의 HTML을 가지고 오고, beautifulsoup를 사용하여 HTML코드를 사용하기 쉽게 나눠주는 파..
-
Languague/Python 2023.11.24[Python] 파이썬 SQLite3 모듈 사용법 & 예제 총정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우리는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간단한 프로그램에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는 것이 번거로운 작업일 수 있겠죠. 이럴 때는 파이썬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SQLite3 모듈을 사용하면 별도의 DB연동 없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데요. SQLite는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라이브러리로 경량이면서 별도의 서버가 필요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내장형 데이터베이스 엔진으로 가볍게 사용하기에 좋습니다. 파이썬 SQLite3 모듈 사용법 SQLite 연결하기 import sqlite3 # SQLite 연결 객체 생성 con1 = sqlite3.connect('test.db') # 파일 DB접속 con2 = sqlite3.connect(':memory:') ..
-
Languague/Python 2023.11.16[Python] 파이썬 부동 소수점 오차 해결 (decimal 모듈 사용법) 컴퓨터에서 소수는 어떻게 계산할 수 있을까요? 컴퓨터는 숫자를 이진법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먼저 10진법의 소수를 이진법으로 변환한 뒤 연산을 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소수는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데요. 왜냐하면 십진법의 소수를 2의 음의 제곱으로 이진법으로 변환해주어야 하는데 많은 소수들이 완벽하게 변환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무한소수가 되어버리는 경우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또한 무한소수는 변수에 저장될 수 없습니다. 메모리의 크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근사값으로 소수를 저장합니다. 메모리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소수를 최대한 저장하고 끝의 자리에서 반올림을 해서 저장하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도 불가피하게 오차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자면 0.1은 이진수로 정확히 표현되지 않아서 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