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084)
-
OS/Windows
2019.02.22
[Windows] 윈도우10 (Windows 10) 단축키 정리
Windows 10 자주쓰는 단축키 모음 1. Ctrl + W = 현재 창 닫기 2. Ctrl + A = 전체 선택 3. Ctrl + T = 새로운 웹 페이지 열기 4. Ctrl + Shift + Esc = 작업 표시줄 열기 1. Windows Key + X = 간소화 메뉴 창 열기 2. Windows Key + W = 메모지, 스케치북, 화면스케치 선택 창 열기 3. Windows Key + E = 탐색기 열기 4. Windows Key + R = 실행 창 열기 5. Windows Key + D = 바탕화면으로 가기 6. Windows Key + P = 듀얼모니터 설정 7. Windows Key + A = 알림창 확인 8. Windows Key + L = PC 잠금 9. Windows Key + U =..
-
OS/Windows
2019.02.21
1
[Windows] 최근에 사용한 파일 목록 제거 & 목록 안나오게 하는방법
윈도우 탐색기를 열면 최근에 사용한 파일 목록들이 나오는데요. 내가 시간에 따라 어떤 작업을 했는지 한눈에 확인이 가능하여 매우 편리합니다. 하지만 만약 컴퓨터를 내가 아닌 다른사람이 보았을경우 뭔가 찝찝(?)한 느낌을 받을 수 있어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최근에 사용한 파일 목록을 제거하는 방법과 목록이 아예 안나오게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에 사용한 파일 목록 제거 & 목록 안나오게 하는방법 1. 탐색기 왼쪽 트리에 보시면 바로가기라는 아이콘이 있습니다. 이 아이콘을 마우스 우클릭 -> 옵션을 클릭해주세요. 2. 최근에 사용한 파일 목록을 제거하시려면 1번 박스에 보이는 체크박스 두개를 선택하고 지우기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또 목록이 안 쌓이게끔 하고 싶다고 하시면 1번에 있는 ..
-
OS/Windows
2019.02.20
6
[Windows] 윈도우 복구 / 복원 이전시점으로 되돌리기
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불필요한 프로그램이 설치되거나 특정 시점 이후로 컴퓨터가 매우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할 때가 있습니다. 이 경우 문제점을 찾아서 해결하는것 보다는 그냥 윈도우 자체를 문제가 있었던 시점 이전으로 되돌리는것이 더 나은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복구드라이브를 통하여 윈도우를 이전시점으로 복원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 복구 / 복원 이전시점으로 되돌리기 1. 시작 -> 찾기에서 복원이라는 키워드를 검색하여 복원 지점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2. 시스템 복원을 클릭합니다. 3. 복원 마법사가 나오는군요. 다음을 눌러줍니다. 4. (1번)추가 복원지점을 눌러 최대한 많은 복원지점을 표시해준 뒤 (2번)자신이 원하는 지점을 클릭하고 (3번)영향을 받는 프로그램 검색 버튼을 눌러..
-
OS/Linux
2019.02.18
7
[Linux] 리눅스란 무엇인가? (센토스 VS 우분투)
리눅스란? 리눅스(Linux)는 리누스 토르발스가 커뮤니티 주체로 개발한 컴퓨터 운영 체제입니다. 리눅스(Linux)는 UNIX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운영체제 입니다. 리눅스(Linux)는 유닉스(UNIX)와 마찬가지로 다중 사용자, 다중 작업(멀티태스킹), 다중 스레드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운영 체제(NOS)입니다. 리눅스의 원형이 되는 UNIX가 애초부터 통신 네트워크를 지향하여 설계된것처럼 리눅스 역시 서버로 작동하는데 최적화되어있습니다. 고로 서버에서 사용되는 운영체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리눅스의 특징 1. 리눅스는 유닉스와 완벽하게 호환가능합니다. 2. 리눅스는 공개 운영체제입니다. 오픈소스이므로 누구든지 자유롭게 수정이 가능합니다. 3. 리눅스는 PC용 OS보다 안정이며 보안쪽면에서..
-
OS/Windows
2019.02.17
[Windows] 윈도우이란 무엇인가? 윈도우의 여러가지 특징들
Windows란? 윈도우는 마이크로소프트사가 개발한 운영체제로 애플이 개인용 컴퓨터에 처음으로 도입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운영 체제인 맥 OS에 대항하여, 당시 널리 쓰이던 MS-DOS에서 멀티태스킹과 GUI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으로 처음 출시되었습니다. 현재 전 세계 90%의 개인용 컴퓨터에서 쓰고 있으며, 서버용 운영 체제로도 점차 영역을 넓혀 나가고 있습니다. 윈도우 운영 체제의 경우 큰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닭에 일반 사용자들에게 매우 익숙할뿐 아니라 호환되는 유명한 응용 프로그램이 많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지만, 그만큼 보안 문제에서는 취약한 부분이 많은 운영 체제로 인식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사실 보안문제에선 취약한 부분이 다른 운영체제와 차이날 정도로 독보..
-
OS
2019.02.14
[OS] MS-DOS란 무엇인가?(MS-DOS총정리)
MS-DOS의 특징 MS-DOS는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것으로, Windows 이전에 사용되던 운영체제이며 아래와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1. CUI(문자중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 작업을 위한 실행 명령을 문자로 직접 입력하여 실행시킵니다. 2. Single-User : 하나의 컴퓨터를 한 사람만이 사용합니다. 3. Single-Tasking : 한번에 하나의 프로그램만을 수행합니다. 4. 파일시스템의 디렉터리 구조는 트리 구조입니다. MS-DOS의 파일시스템 시스템 파일(System File) 시스템 파일은 MS-DOS의 핵심 파일로 주변장치의 입출력과 시스템 전체를 통제합니다. 부팅시 반드시 필요하며, 부팅 후 메모리에 항상 적재되어 있습니다. 시스템파일에는 MSDOS.SYS와 IO.SYS가..
-
OS
2019.02.13
3
[OS] UNIX란 무엇인가? (UNIX 총정리)
UNIX의 특징 UNIX는 주로 서버용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운영체제로 아래와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1. 시분할 시스템(Time Sharing System)을 위해 설계된 대화식 운영체제로, 소스가 공개된 개방형 시스템입니다. 2. 대부분 C언어로 작성되어 있어 이식성이 높으며 장치, 프로세스 간의 호환성이 높습니다. 3. 크기가 작고 이해하기가 쉽습니다. 4. 다중 사용자, 다중 작업을 지원합니다. 5. 많은 네트워킹 기능을 제공하므로 통신망 관리용 운영체제로 적합합니다. 6. 트리구조의 파일 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7. 전문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용이합니다. 8. 다양한 유틸리티 프로그램들이 존재합니다. UNIX 시스템의 구성 커널(Kernel) Unix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입니다. 컴퓨터가 부팅될..
-
OS
2019.02.12
[OS] 운영체제 문서 보안 시스템 (암호화 복호화)
암호화 기법 암호화(Encryption)는 데이터를 보낼 때 송신자가 지정한 수신자 이외에는 그 내용을 알 수 없도록 평문을 암호문으로 변환하는 것이고, 복호화(Decryption)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원래의 평문으로 복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암호화 기법에는 비밀키 암호화 기법과 공용키 암호화 기법이 있습니다. 비밀키 암호화 기법 1. 동일한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해독(복호화)하는 대칭 암호화 기법입니다. 2. 해독키를 아는 사람은 누구든지 암호문을 해독할 수 있으므로 해독키의 비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암호화/복호화 속도가 빠르며 알고리즘이 단순하고 파일의 크기가 작습니다. 4. 사용자의 증가에 따라 관리해야 할 키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아지고 키의 분배가 어렵습니다. 5. 비밀키 ..
-
OS
2019.02.11
[OS] 운영체제의 여러가지 보안기법
운영체제 보안 보안은 컴퓨터 시스템 내에 있는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대하여 통제된 접근 방식을 어떻게 제공할 것인가를 다루는 것입니다. 물리적 환경적 취약점을 이용한 침입, 방해, 절도 등의 행위로부터 컴퓨터 시스템내의 자원을 보호하고 대응하기 위한 일련의 정책과 행위를 말하는데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정의된 자원에 대하여 프로그램, 프로세스 또는 사용자의 허용된 권한 외에는 접근을 제한하여 자원의 손상 및 유출 등을 방지하는 기법입니다. 보안 유지 기법 외부 보안(External Security) 외부 보안에는 컴퓨터 시스템의 물리적 보안을 위한 시설 보안과 운용자의 정책을 통한 시설 보안이 있습니다. 시설 보안 : 천재지변이나 외부 침입자로부터의 보안을 의미하는 것으로, 연기나 열을 감지하고 사람의 ..
-
OS
2019.02.10
2
[OS] 운영체제에서 기억장치를 관리하는 방법
기억장치 계층 구조의 특징 기억장치는 레지스터, 캐시 기억장치,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등이 있습니다. 1. 계층 구조에서 상위의 기억장치일수록 접근 소도와 접근 시간이 빠르지만 기억 용량이 적고 비쌉니다. 2. 주기억장치는 각기 자신의 주소를 갖는 워드 또는 바이트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소를 이용하여 액세스 할 수 있습니다. 3. 레지스터, 캐시 기억장치, 주기억장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는 CPU가 직접 액세스할 수 없습니다. 4. 보조기억장치에 있는 데이터는 주기억장치에 적재된 후 CPU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습니다. 운영체제의 기억장치의 관리 전략 기억장치의 관리 전략은 보조기억장치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에 적재시키는 시기, 적재 위치등을 지정하여 한정된 주기억장치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
-
OS/Windows 2019.02.22[Windows] 윈도우10 (Windows 10) 단축키 정리 Windows 10 자주쓰는 단축키 모음 1. Ctrl + W = 현재 창 닫기 2. Ctrl + A = 전체 선택 3. Ctrl + T = 새로운 웹 페이지 열기 4. Ctrl + Shift + Esc = 작업 표시줄 열기 1. Windows Key + X = 간소화 메뉴 창 열기 2. Windows Key + W = 메모지, 스케치북, 화면스케치 선택 창 열기 3. Windows Key + E = 탐색기 열기 4. Windows Key + R = 실행 창 열기 5. Windows Key + D = 바탕화면으로 가기 6. Windows Key + P = 듀얼모니터 설정 7. Windows Key + A = 알림창 확인 8. Windows Key + L = PC 잠금 9. Windows Key + U =..
-
OS/Windows 2019.02.21 1[Windows] 최근에 사용한 파일 목록 제거 & 목록 안나오게 하는방법 윈도우 탐색기를 열면 최근에 사용한 파일 목록들이 나오는데요. 내가 시간에 따라 어떤 작업을 했는지 한눈에 확인이 가능하여 매우 편리합니다. 하지만 만약 컴퓨터를 내가 아닌 다른사람이 보았을경우 뭔가 찝찝(?)한 느낌을 받을 수 있어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최근에 사용한 파일 목록을 제거하는 방법과 목록이 아예 안나오게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에 사용한 파일 목록 제거 & 목록 안나오게 하는방법 1. 탐색기 왼쪽 트리에 보시면 바로가기라는 아이콘이 있습니다. 이 아이콘을 마우스 우클릭 -> 옵션을 클릭해주세요. 2. 최근에 사용한 파일 목록을 제거하시려면 1번 박스에 보이는 체크박스 두개를 선택하고 지우기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또 목록이 안 쌓이게끔 하고 싶다고 하시면 1번에 있는 ..
-
OS/Windows 2019.02.20 6[Windows] 윈도우 복구 / 복원 이전시점으로 되돌리기 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불필요한 프로그램이 설치되거나 특정 시점 이후로 컴퓨터가 매우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할 때가 있습니다. 이 경우 문제점을 찾아서 해결하는것 보다는 그냥 윈도우 자체를 문제가 있었던 시점 이전으로 되돌리는것이 더 나은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복구드라이브를 통하여 윈도우를 이전시점으로 복원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 복구 / 복원 이전시점으로 되돌리기 1. 시작 -> 찾기에서 복원이라는 키워드를 검색하여 복원 지점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2. 시스템 복원을 클릭합니다. 3. 복원 마법사가 나오는군요. 다음을 눌러줍니다. 4. (1번)추가 복원지점을 눌러 최대한 많은 복원지점을 표시해준 뒤 (2번)자신이 원하는 지점을 클릭하고 (3번)영향을 받는 프로그램 검색 버튼을 눌러..
-
OS/Linux 2019.02.18 7[Linux] 리눅스란 무엇인가? (센토스 VS 우분투) 리눅스란? 리눅스(Linux)는 리누스 토르발스가 커뮤니티 주체로 개발한 컴퓨터 운영 체제입니다. 리눅스(Linux)는 UNIX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운영체제 입니다. 리눅스(Linux)는 유닉스(UNIX)와 마찬가지로 다중 사용자, 다중 작업(멀티태스킹), 다중 스레드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운영 체제(NOS)입니다. 리눅스의 원형이 되는 UNIX가 애초부터 통신 네트워크를 지향하여 설계된것처럼 리눅스 역시 서버로 작동하는데 최적화되어있습니다. 고로 서버에서 사용되는 운영체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리눅스의 특징 1. 리눅스는 유닉스와 완벽하게 호환가능합니다. 2. 리눅스는 공개 운영체제입니다. 오픈소스이므로 누구든지 자유롭게 수정이 가능합니다. 3. 리눅스는 PC용 OS보다 안정이며 보안쪽면에서..
-
OS/Windows 2019.02.17[Windows] 윈도우이란 무엇인가? 윈도우의 여러가지 특징들 Windows란? 윈도우는 마이크로소프트사가 개발한 운영체제로 애플이 개인용 컴퓨터에 처음으로 도입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운영 체제인 맥 OS에 대항하여, 당시 널리 쓰이던 MS-DOS에서 멀티태스킹과 GUI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으로 처음 출시되었습니다. 현재 전 세계 90%의 개인용 컴퓨터에서 쓰고 있으며, 서버용 운영 체제로도 점차 영역을 넓혀 나가고 있습니다. 윈도우 운영 체제의 경우 큰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닭에 일반 사용자들에게 매우 익숙할뿐 아니라 호환되는 유명한 응용 프로그램이 많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지만, 그만큼 보안 문제에서는 취약한 부분이 많은 운영 체제로 인식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사실 보안문제에선 취약한 부분이 다른 운영체제와 차이날 정도로 독보..
-
OS 2019.02.14[OS] MS-DOS란 무엇인가?(MS-DOS총정리) MS-DOS의 특징 MS-DOS는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것으로, Windows 이전에 사용되던 운영체제이며 아래와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1. CUI(문자중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 작업을 위한 실행 명령을 문자로 직접 입력하여 실행시킵니다. 2. Single-User : 하나의 컴퓨터를 한 사람만이 사용합니다. 3. Single-Tasking : 한번에 하나의 프로그램만을 수행합니다. 4. 파일시스템의 디렉터리 구조는 트리 구조입니다. MS-DOS의 파일시스템 시스템 파일(System File) 시스템 파일은 MS-DOS의 핵심 파일로 주변장치의 입출력과 시스템 전체를 통제합니다. 부팅시 반드시 필요하며, 부팅 후 메모리에 항상 적재되어 있습니다. 시스템파일에는 MSDOS.SYS와 IO.SYS가..
-
OS 2019.02.13 3[OS] UNIX란 무엇인가? (UNIX 총정리) UNIX의 특징 UNIX는 주로 서버용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운영체제로 아래와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1. 시분할 시스템(Time Sharing System)을 위해 설계된 대화식 운영체제로, 소스가 공개된 개방형 시스템입니다. 2. 대부분 C언어로 작성되어 있어 이식성이 높으며 장치, 프로세스 간의 호환성이 높습니다. 3. 크기가 작고 이해하기가 쉽습니다. 4. 다중 사용자, 다중 작업을 지원합니다. 5. 많은 네트워킹 기능을 제공하므로 통신망 관리용 운영체제로 적합합니다. 6. 트리구조의 파일 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7. 전문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용이합니다. 8. 다양한 유틸리티 프로그램들이 존재합니다. UNIX 시스템의 구성 커널(Kernel) Unix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입니다. 컴퓨터가 부팅될..
-
OS 2019.02.12[OS] 운영체제 문서 보안 시스템 (암호화 복호화) 암호화 기법 암호화(Encryption)는 데이터를 보낼 때 송신자가 지정한 수신자 이외에는 그 내용을 알 수 없도록 평문을 암호문으로 변환하는 것이고, 복호화(Decryption)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원래의 평문으로 복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암호화 기법에는 비밀키 암호화 기법과 공용키 암호화 기법이 있습니다. 비밀키 암호화 기법 1. 동일한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해독(복호화)하는 대칭 암호화 기법입니다. 2. 해독키를 아는 사람은 누구든지 암호문을 해독할 수 있으므로 해독키의 비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암호화/복호화 속도가 빠르며 알고리즘이 단순하고 파일의 크기가 작습니다. 4. 사용자의 증가에 따라 관리해야 할 키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아지고 키의 분배가 어렵습니다. 5. 비밀키 ..
-
OS 2019.02.11[OS] 운영체제의 여러가지 보안기법 운영체제 보안 보안은 컴퓨터 시스템 내에 있는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대하여 통제된 접근 방식을 어떻게 제공할 것인가를 다루는 것입니다. 물리적 환경적 취약점을 이용한 침입, 방해, 절도 등의 행위로부터 컴퓨터 시스템내의 자원을 보호하고 대응하기 위한 일련의 정책과 행위를 말하는데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정의된 자원에 대하여 프로그램, 프로세스 또는 사용자의 허용된 권한 외에는 접근을 제한하여 자원의 손상 및 유출 등을 방지하는 기법입니다. 보안 유지 기법 외부 보안(External Security) 외부 보안에는 컴퓨터 시스템의 물리적 보안을 위한 시설 보안과 운용자의 정책을 통한 시설 보안이 있습니다. 시설 보안 : 천재지변이나 외부 침입자로부터의 보안을 의미하는 것으로, 연기나 열을 감지하고 사람의 ..
-
OS 2019.02.10 2[OS] 운영체제에서 기억장치를 관리하는 방법 기억장치 계층 구조의 특징 기억장치는 레지스터, 캐시 기억장치,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등이 있습니다. 1. 계층 구조에서 상위의 기억장치일수록 접근 소도와 접근 시간이 빠르지만 기억 용량이 적고 비쌉니다. 2. 주기억장치는 각기 자신의 주소를 갖는 워드 또는 바이트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소를 이용하여 액세스 할 수 있습니다. 3. 레지스터, 캐시 기억장치, 주기억장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는 CPU가 직접 액세스할 수 없습니다. 4. 보조기억장치에 있는 데이터는 주기억장치에 적재된 후 CPU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습니다. 운영체제의 기억장치의 관리 전략 기억장치의 관리 전략은 보조기억장치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에 적재시키는 시기, 적재 위치등을 지정하여 한정된 주기억장치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