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4(17)
-
Languague/Java
2020.04.20
[Java] 열거 타입(Enum) 사용법 & 예제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몇가지의 한정된 데이터들을 가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는 "요일"이나 "계절" 같은것이지요 요일은 월,화,수,목,금,토,일 이렇게 7가지밖고 계절도 봄,여름,가을,겨울 4가지 계절로 한정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이와 같이 한정된 데이터들을 갖는 데이터들은 열거형으로 묶어주면 편합니다. 열거형(Enum) 선언 방법 enum Season { //class 외부에서 선언 봄, 여름, 가을, 겨울 } public class enum_ex { public enum Season { //class 내부에서 선언 봄, 여름, 가을, 겨울 } } enum 키워드는 열거 타입을 선언하기 위한 키워드입니다. 열거 타입(Season)이름을 지정하고 열거 상수(봄,여름,가을,겨울)를 나열하면 됩니다...
-
Languague/Java
2020.04.19
2
[Java] 비트(Shift) 연산자 사용법 & 예제
비트 연산자는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연산합니다. 그러므로 0과 1로 표현이 가능한 정수 타입이나 정수형으로 캐스팅이 가능한 자료형만 비트 연산이 가능합니다. 비트 연산자는 기능에 따라 비트 이동연산자, 비트 논리연산자로 구분합니다. 비트 이동 연산자(, >>>) 연산식 설명 x > y 정수 x의 각 비트를 y만큼 오른쪽으로 이동시킵니다. (빈자리는 정수 a의 최상위 부호비트와 같은 값으로 채워집니다. x >>> y 정수 x의 각 비트를 y만큼 오른쪽으로 이동시킵니다. (빈자리는 0으로 채워집니다.) 비트 이동 연산자는 정수 데이터의 비트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연산을 합니다. 2 3 -16 >> 3 16 >> 3 은 16을 32비트로 분해한다음 오른쪽으로 3비트를 이동시키는 연산입니다. 비트를..
-
OS/Windows
2020.04.18
6
[Windows] 윈도우10 스티커 메모(Stick Note) 사용법
가끔 업무를 하다보면 전화번호 같이 특정 정보를 메모해야할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럴때 포스티잇을 사용하면 좋은데 윈도우10에서 기본으로 포스티잇 프로그램 스티커메모 (Stick Note)가 탑재되어 있으니 모르시는 분이 있으셨다면 한번쯤 사용해보시면 좋을듯 합니다. 프로그램이 심플하여 업무를 할 때 굉장히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스티커 메모(Stick Note) 실행방법 방법 1 : 윈도우 검색에서 스티커(한글버전의 윈도우) or Stick(영문버전의 윈도우)를 검색하여 실행합니다. 방법 2 : [Windows Key] + W를 눌러 Windows lnk 작업 영역창을 띄우고 가장 위에있는 스티커 메모를 실행시킵니다. 스티커 메모(Stick Note) 사용법 스티커 메모(Stick Note)의 ..
-
OS/Windows
2020.04.17
[Windows] 윈도우10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연동 해제 방법
한개의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다수의 PC를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나의 계정으로 여러대의 PC를 등록해놓으면 어떤 PC가 어떤 작업을 수행한 기록들이 전부 공유되는데 이것이 장점이 될 수도 있지만 만약 여러명이서 같이 사용하는 PC라면 나의 사적인 PC들의 기록들이 공유된다는것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공용 PC에 개인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이 연동되어있다면 연결을 해제하고 로컬 계정으로 바꿔주시는것이 좋습니다. 윈도우10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로컬계정으로 변환하기 1. [Windows Key] + [ I ] 키를 눌러 Windows 설정에 들어간 뒤 계정을 클릭합니다. 2. 대신 로컬 계정으로 로그인을 클릭합니다. 만약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의 패스워드를 중간에 변경한적이 있다면 업데이트 ..
-
OS/Windows
2020.04.16
1
[Windows] 윈도우10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연동 방법
한개의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다수의 PC를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여러대의 PC를 하나의 계정으로 묶어놓으면 기본기본 설정을 모두 저장해 기본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즐겨찾기 문서까지 동기화가 되고, 또 어떤 PC가 무슨 작업을 했는지 타임라인 등을 볼 수 있는등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본래 윈도우 설치 시 계정을 연동할 수 있는 순서가 있지만 이 순서를 그냥 뛰어넘으셨다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연결이 되어 있지 않고 로컬계정으로 로그인이 되어있을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PC를 로컬 계정에서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전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10 로컬 계정에서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전환하기 1. [Windows Key] + [ I ] 를 눌러 Wi..
-
일상
2020.04.15
6
[일상] 국민은행 적금 만기 시 해지방법 (모바일)
국민은행 적금 만기 시 꼭 은행에 방문하지 않아도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간편하게 해지를 할 수 있습니다. 저도 얼마전에 적금 하나가 만기가 되어 모바일로 해지하였는데 혹시 방법을 모르시는 분이 있으실까 싶어 포스팅합니다. 1. 만기 된 적금을 클릭합니다. 2. 만기된 날짜를 확인한 후 해지예상조회를 클릭합니다. 3. 조회버튼을 클릭합니다. 4. 해지구분에 만기해약으로 표시된 것을 확인 후 해지 버튼을 클릭합니다. 5. 해지할 적금계좌 비밀번호만 입력 한 후 해지버튼을 클릭하면 국민은행 적금 해지가 완료됩니다.
-
일상/블로그
2020.04.14
5
[블로그] 블로그로 돈을 번다는 생각의 정리 (블로그 VS 유튜브)
내가 아는 것은 빙산의 일각이기에 내가 모르는 것이 많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지금까지 블로그를 운영한 경험을 토대로 나는 블로그와 수익의 상관관계에 대해 스스로 결론을 내렸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블로그 하나만으로 부자가 된다는 생각은 허황된 망상에 가깝다. 물론 블로그로 돈을 벌수는 있다. 전업 블로거들은 여러개의 블로그를 운영하며 한달에 수백만원의 수입을 올린다는 이야기도 들었다. 하지만 수천만원, 수억원 정도의 큰돈은 결코 벌 수 없다. 수익을 목표로 부업을 하고자 한다면 블로그보다는 유튜브를 하는것이 낫다. 블로그와 유튜브의 한계치는 극렬히 다르다. 지금은 텍스트 종말의 시대이며 영상의 시대이다. 인터넷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영상의 로딩시간 거의 없다시피한다. 글을 읽을바에야 영상을 시청하는것이 이..
-
Languague/Java 2020.04.20[Java] 열거 타입(Enum) 사용법 & 예제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몇가지의 한정된 데이터들을 가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는 "요일"이나 "계절" 같은것이지요 요일은 월,화,수,목,금,토,일 이렇게 7가지밖고 계절도 봄,여름,가을,겨울 4가지 계절로 한정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이와 같이 한정된 데이터들을 갖는 데이터들은 열거형으로 묶어주면 편합니다. 열거형(Enum) 선언 방법 enum Season { //class 외부에서 선언 봄, 여름, 가을, 겨울 } public class enum_ex { public enum Season { //class 내부에서 선언 봄, 여름, 가을, 겨울 } } enum 키워드는 열거 타입을 선언하기 위한 키워드입니다. 열거 타입(Season)이름을 지정하고 열거 상수(봄,여름,가을,겨울)를 나열하면 됩니다...
-
Languague/Java 2020.04.19 2[Java] 비트(Shift) 연산자 사용법 & 예제 비트 연산자는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연산합니다. 그러므로 0과 1로 표현이 가능한 정수 타입이나 정수형으로 캐스팅이 가능한 자료형만 비트 연산이 가능합니다. 비트 연산자는 기능에 따라 비트 이동연산자, 비트 논리연산자로 구분합니다. 비트 이동 연산자(, >>>) 연산식 설명 x > y 정수 x의 각 비트를 y만큼 오른쪽으로 이동시킵니다. (빈자리는 정수 a의 최상위 부호비트와 같은 값으로 채워집니다. x >>> y 정수 x의 각 비트를 y만큼 오른쪽으로 이동시킵니다. (빈자리는 0으로 채워집니다.) 비트 이동 연산자는 정수 데이터의 비트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연산을 합니다. 2 3 -16 >> 3 16 >> 3 은 16을 32비트로 분해한다음 오른쪽으로 3비트를 이동시키는 연산입니다. 비트를..
-
OS/Windows 2020.04.18 6[Windows] 윈도우10 스티커 메모(Stick Note) 사용법 가끔 업무를 하다보면 전화번호 같이 특정 정보를 메모해야할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럴때 포스티잇을 사용하면 좋은데 윈도우10에서 기본으로 포스티잇 프로그램 스티커메모 (Stick Note)가 탑재되어 있으니 모르시는 분이 있으셨다면 한번쯤 사용해보시면 좋을듯 합니다. 프로그램이 심플하여 업무를 할 때 굉장히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스티커 메모(Stick Note) 실행방법 방법 1 : 윈도우 검색에서 스티커(한글버전의 윈도우) or Stick(영문버전의 윈도우)를 검색하여 실행합니다. 방법 2 : [Windows Key] + W를 눌러 Windows lnk 작업 영역창을 띄우고 가장 위에있는 스티커 메모를 실행시킵니다. 스티커 메모(Stick Note) 사용법 스티커 메모(Stick Note)의 ..
-
OS/Windows 2020.04.17[Windows] 윈도우10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연동 해제 방법 한개의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다수의 PC를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나의 계정으로 여러대의 PC를 등록해놓으면 어떤 PC가 어떤 작업을 수행한 기록들이 전부 공유되는데 이것이 장점이 될 수도 있지만 만약 여러명이서 같이 사용하는 PC라면 나의 사적인 PC들의 기록들이 공유된다는것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공용 PC에 개인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이 연동되어있다면 연결을 해제하고 로컬 계정으로 바꿔주시는것이 좋습니다. 윈도우10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로컬계정으로 변환하기 1. [Windows Key] + [ I ] 키를 눌러 Windows 설정에 들어간 뒤 계정을 클릭합니다. 2. 대신 로컬 계정으로 로그인을 클릭합니다. 만약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의 패스워드를 중간에 변경한적이 있다면 업데이트 ..
-
OS/Windows 2020.04.16 1[Windows] 윈도우10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연동 방법 한개의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다수의 PC를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여러대의 PC를 하나의 계정으로 묶어놓으면 기본기본 설정을 모두 저장해 기본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즐겨찾기 문서까지 동기화가 되고, 또 어떤 PC가 무슨 작업을 했는지 타임라인 등을 볼 수 있는등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본래 윈도우 설치 시 계정을 연동할 수 있는 순서가 있지만 이 순서를 그냥 뛰어넘으셨다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연결이 되어 있지 않고 로컬계정으로 로그인이 되어있을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PC를 로컬 계정에서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전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10 로컬 계정에서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전환하기 1. [Windows Key] + [ I ] 를 눌러 Wi..
-
일상 2020.04.15 6[일상] 국민은행 적금 만기 시 해지방법 (모바일) 국민은행 적금 만기 시 꼭 은행에 방문하지 않아도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간편하게 해지를 할 수 있습니다. 저도 얼마전에 적금 하나가 만기가 되어 모바일로 해지하였는데 혹시 방법을 모르시는 분이 있으실까 싶어 포스팅합니다. 1. 만기 된 적금을 클릭합니다. 2. 만기된 날짜를 확인한 후 해지예상조회를 클릭합니다. 3. 조회버튼을 클릭합니다. 4. 해지구분에 만기해약으로 표시된 것을 확인 후 해지 버튼을 클릭합니다. 5. 해지할 적금계좌 비밀번호만 입력 한 후 해지버튼을 클릭하면 국민은행 적금 해지가 완료됩니다.
-
일상/블로그 2020.04.14 5[블로그] 블로그로 돈을 번다는 생각의 정리 (블로그 VS 유튜브) 내가 아는 것은 빙산의 일각이기에 내가 모르는 것이 많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지금까지 블로그를 운영한 경험을 토대로 나는 블로그와 수익의 상관관계에 대해 스스로 결론을 내렸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블로그 하나만으로 부자가 된다는 생각은 허황된 망상에 가깝다. 물론 블로그로 돈을 벌수는 있다. 전업 블로거들은 여러개의 블로그를 운영하며 한달에 수백만원의 수입을 올린다는 이야기도 들었다. 하지만 수천만원, 수억원 정도의 큰돈은 결코 벌 수 없다. 수익을 목표로 부업을 하고자 한다면 블로그보다는 유튜브를 하는것이 낫다. 블로그와 유튜브의 한계치는 극렬히 다르다. 지금은 텍스트 종말의 시대이며 영상의 시대이다. 인터넷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영상의 로딩시간 거의 없다시피한다. 글을 읽을바에야 영상을 시청하는것이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