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085)
-
DB/Database Knowledge
2021.07.15
[DB] 데이터베이스 NESTED LOOPS JOIN (중첩 루프 조인)에 대하여
NESTED LOOP JOIN이란? 줄여서 NL JOIN이라고도 불리는 NESTED LOOP JOIN은 2개 이상의 테이블에서 하나의 집합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상대방 Row를 결합하여 원하는 결과를 조합하는 조인 방식입니다. 조인해야 할 데이터가 많지 않은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NESTED LOOP JOIN은 드라이빙 테이블로 한 테이블을 선정하고 이 테이블로부터 where절에 정의된 검색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들을 걸러낸 후, 이 값을 가지고 조인 대상 테이블을 반복적으로 검색하면서 조인 조건을 만족하는 최종 결과값을 얻어냅니다. Driving Table 과 Driven Table Driving Table이란 JOIN을 할 때 먼저 액세스 되어 ACCESS PATH를 주도하는 테이블을 Driv..
-
DB/Database Knowledge
2021.07.14
3
[DB] 데이터베이스 결합 인덱스에 대하여
결합 인덱스란? 결합 인덱스란 두 개 이상의 컬럼을 합쳐서 인덱스를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주로 단일 컬럼으로는 나쁜 분포도를 가지지만 여러 개의 컬럼을 합친다면 좋은 분포도를 가지고, Where절에서 AND 조건에 많이 사용되는 컬럼들을 결합 인덱스로 구성합니다. 결합 인덱스 컬럼 선택 1. where절에서 and 조건으로 자주 결합되어 사용되면서 각각의 분포도 보다 두 개 이상의 컬럼이 결합될 때 분포도가 좋아지는 컬럼들 2. 다른 테이블과 조인의 연결고리로 자주 사용되는 컬럼들 3. order by에서 자주 사용되는 컬럼들 4. 하나 이상의 키 컬럼 조건으로 같은 테이블의 컬럼들이 자주 조회될 때 결합 인덱스의 컬럼 순서 결정 결합 인덱스를 만들 때 결합 인덱스를 구성하는 컬럼들의 배열 순서는 아주..
-
OS/Linux
2021.07.13
[Linux] 리눅스 touch 명령어(파일 생성, 갱신) 사용법 & 옵션 정리
touch touch는 아무것도 없는 빈 파일을 생성하거나 touch는 파일의 날짜와 시간을 수정하는 명령어입니다. touch의 파일명이 이미 존재한다면 서버의 현재 시간으로 파일의 최근 사용한 시간(access time)과 최근 변경 시간(modification time)을 변경하고 파일명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파일의 크기가 0인 빈 파일을 생성합니다. touch [옵션][파일명] # 파일이 없다면 file txt 파일 생성, 있다면 file.txt의 시간 정보 수정 touch file.txt 수정 할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크기가 0 인 빈 파일을 생성합니다. 수정 할 파일이 존재한다면 해당 파일의 최근 사용한시간과 최근 변경 시간을 현재 시간으로 수정합니다. 별다른 옵션이 없다면 atime, cti..
-
OS/Linux
2021.07.12
[Linux] 리눅스 mkdir 명령어(디렉토리 생성) 사용법 & 옵션 정리
mkdir mkdir의 뜻은 make directory의 약자로 디렉토리(폴더)를 생성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mkdir [옵션][생성 할 디렉토리] new_folder 디렉토리 생성 ex) mkdir new_folder /home/user/위치에 new_folder 디렉토리 생성 ex) mkdir /home/user/new_folder new_folder, new_folder2, new_folder3 디렉토리 생성 ex) mkdir new_folder new_folder2 new_folder3 경로를 지정하지 않으면 현 위치를 Defualt로 합니다. 생성할 디렉토리를 여러개 나열하여 한번의 명령어로 복수의 디렉토리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자주 사용하는 옵션 -m : 디렉토리를 생성할 때 권한을 ..
-
OS/Linux
2021.07.11
[Linux] 리눅스 rm 명령어 사용법 & 옵션 정리 (파일, 디렉토리 삭제)
rm rm의 뜻은 remove의 약자로 파일이나 디렉토리( -r 옵션시 삭제가능)를 삭제 시킬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한번 지운 파일은 복구가 어렵기 때문에 rm 명령어를 실행시키기전에 두번 세번 확인하는 습관을 가집시다. rm [옵션][삭제 할 디렉토리/파일] test.txt 삭제 ex) rm test.txt new_folder /home/user/test.txt 삭제 ex) rm /home/user/test.txt new_folder 디렉토리 삭제 ex) rm -r new_folder new_folder 디렉토리 삭제 시 삭제 확인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음 ex) rm -rf new_folder 경로를 지정하지 않으면 현 위치를 Defualt로 합니다. 비어있지 않은 디렉토리는 -r 옵션 없이는 삭제..
-
OS/Linux
2021.07.10
[Linux] 리눅스 mv 명령어 사용법 & 옵션 정리 (파일 이동, 이름 바꾸기)
mv mv의 뜻은 move의 줄임말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이동 시킬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mv [옵션][이동 할 파일][이동 될 위치]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test.txt 파일을 디렉토리 내부의 new_folder 디렉토리로 이동 ex) mv test.txt new_folder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test.txt 파일을 new_test.txt라는 파일로 이름 바꾸기 ex) mv test.txt new_test.txt /user/jtaewu 경로의 test.txt 파일을 /user/jtaewu 디렉토리로 이동 ex) mv test.txt /user/jtaewu/new_folder /user/jtaewu 경로 test.txt 파일을 /user/guest 디렉토리에 new.txt로 바꾸어 이동 ex) ..
-
OS/Linux
2021.07.09
[Linux] 리눅스 cp 명령어 사용법 & 옵션 정리 (파일, 디렉토리 복사)
cp cp의 뜻은 copy의 줄임말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복사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cp [옵션][복사 할 디렉토리/파일][복사 될 디렉토리/파일]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test.txt 파일을 new_test.txt라는 이름으로 현 위치에 복사 ex) cp test.txt new_test.txt /user/jtaewu 경로의 test.txt 파일을 new_test.txt라는 이름으로 현재 위치에 복사 ex) cp /user/jtaewu/test.txt new_test.txt /user/jtaewu 경로의 test.txt 파일을 new_test.txt라는 이름으로 /user/guest에 복사 ex) cp /user/jtaewu/test.txt /user/guest/new_test.txt cp 명령어..
-
OS/Linux
2021.07.08
[Linux] 리눅스 cd 명령어 사용법 정리 (디렉토리 이동)
CD의 뜻은 change directory의 줄임말로 현재 작업하고 있는 디렉토리의 위치를 이동하는 명령어 입니다. CD 명령어 뒤에 디렉토리 이동경로를 입력해주시면 해당 디렉토리로 즉시 이동합니다. 이 디렉토리 이동경로를 입력하실때는 키보드 TAB 버튼을 함께 사용하시면 어느정도 경로를 자동으로 지정해주기에 좀 더 편하게 디렉토리 이동을 하실 수 있습니다. cp [이동 할 디렉토리 경로] ex) cd / : root로 이동 ex) cd project : 현재 디렉토리 내부에 있는 project 디렉토리로 이동 ex) cd /user/jtaewu : /user/jtaewu 경로의 디렉토리로 이동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 CD 명령어에는 별도의 옵션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동할 ..
-
OS/Linux
2021.07.07
[Linux] 리눅스 ls 명령어 사용법 & 옵션 정리 (디렉토리 목록 확인)
ls ls의 뜻은 list의 줄임말로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에 있는 내용(디렉토리, 파일) 리스트를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ls [디렉토리] ex) ls / : root에 있는 파일 목록 출력 ex) ls /project : /project 경로의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 목록 출력 디렉토리를 지정하여 파일 목록을 출력할수도 있습니다. 옵션을 사용하지 않으면 숨김 파일은 나오지 않습니다. 디렉토리명을 생략하면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을 출력합니다. 자주 사용하는 옵션 -l : 파일들을 나열할때 자세히 출력한다. -a : 경로안의 모든 파일을 나열한다.(숨김파일도 포함) -R : 위치한 디렉토리 하부 디렉토리의 파일까지 모두 출력한다. -h : 파일크기를 해석파기 편하게 출력한다. -r : 출력 결과를..
-
OS/Linux
2021.07.06
[Linux] 리눅스 현재 경로 표시 pwd 명령어 사용법
리눅스 설정에 따라 좌측에 터미널에서 현재 내가 있는 위치가 안보이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럴 때 현재 내가 있는 디렉토리의 경로를 알고 싶다면 pwd 명령어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pwd pwd의 뜻은 print working directory의 줄임말로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의 경로를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jtaewu@localhost ~]$ pwd /home/jtaewu 터미널에 pwd라는 명령어를 입력하여 내가 /home/jtaewu라는 폴더안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pwd 명령어 옵션 pwd -L : 심볼릭 링크안에 있다면 심볼릭 링크의 경로를 표시합니다. pwd -P : 심볼릭 링크 안에 있다면 심볼릭 링크가 가리키는 디렉토리 경로를 표시합니다. 심볼릭 링크(Symbolic ..
-
DB/Database Knowledge 2021.07.15[DB] 데이터베이스 NESTED LOOPS JOIN (중첩 루프 조인)에 대하여 NESTED LOOP JOIN이란? 줄여서 NL JOIN이라고도 불리는 NESTED LOOP JOIN은 2개 이상의 테이블에서 하나의 집합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상대방 Row를 결합하여 원하는 결과를 조합하는 조인 방식입니다. 조인해야 할 데이터가 많지 않은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NESTED LOOP JOIN은 드라이빙 테이블로 한 테이블을 선정하고 이 테이블로부터 where절에 정의된 검색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들을 걸러낸 후, 이 값을 가지고 조인 대상 테이블을 반복적으로 검색하면서 조인 조건을 만족하는 최종 결과값을 얻어냅니다. Driving Table 과 Driven Table Driving Table이란 JOIN을 할 때 먼저 액세스 되어 ACCESS PATH를 주도하는 테이블을 Driv..
-
DB/Database Knowledge 2021.07.14 3[DB] 데이터베이스 결합 인덱스에 대하여 결합 인덱스란? 결합 인덱스란 두 개 이상의 컬럼을 합쳐서 인덱스를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주로 단일 컬럼으로는 나쁜 분포도를 가지지만 여러 개의 컬럼을 합친다면 좋은 분포도를 가지고, Where절에서 AND 조건에 많이 사용되는 컬럼들을 결합 인덱스로 구성합니다. 결합 인덱스 컬럼 선택 1. where절에서 and 조건으로 자주 결합되어 사용되면서 각각의 분포도 보다 두 개 이상의 컬럼이 결합될 때 분포도가 좋아지는 컬럼들 2. 다른 테이블과 조인의 연결고리로 자주 사용되는 컬럼들 3. order by에서 자주 사용되는 컬럼들 4. 하나 이상의 키 컬럼 조건으로 같은 테이블의 컬럼들이 자주 조회될 때 결합 인덱스의 컬럼 순서 결정 결합 인덱스를 만들 때 결합 인덱스를 구성하는 컬럼들의 배열 순서는 아주..
-
OS/Linux 2021.07.13[Linux] 리눅스 touch 명령어(파일 생성, 갱신) 사용법 & 옵션 정리 touch touch는 아무것도 없는 빈 파일을 생성하거나 touch는 파일의 날짜와 시간을 수정하는 명령어입니다. touch의 파일명이 이미 존재한다면 서버의 현재 시간으로 파일의 최근 사용한 시간(access time)과 최근 변경 시간(modification time)을 변경하고 파일명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파일의 크기가 0인 빈 파일을 생성합니다. touch [옵션][파일명] # 파일이 없다면 file txt 파일 생성, 있다면 file.txt의 시간 정보 수정 touch file.txt 수정 할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크기가 0 인 빈 파일을 생성합니다. 수정 할 파일이 존재한다면 해당 파일의 최근 사용한시간과 최근 변경 시간을 현재 시간으로 수정합니다. 별다른 옵션이 없다면 atime, cti..
-
OS/Linux 2021.07.12[Linux] 리눅스 mkdir 명령어(디렉토리 생성) 사용법 & 옵션 정리 mkdir mkdir의 뜻은 make directory의 약자로 디렉토리(폴더)를 생성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mkdir [옵션][생성 할 디렉토리] new_folder 디렉토리 생성 ex) mkdir new_folder /home/user/위치에 new_folder 디렉토리 생성 ex) mkdir /home/user/new_folder new_folder, new_folder2, new_folder3 디렉토리 생성 ex) mkdir new_folder new_folder2 new_folder3 경로를 지정하지 않으면 현 위치를 Defualt로 합니다. 생성할 디렉토리를 여러개 나열하여 한번의 명령어로 복수의 디렉토리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자주 사용하는 옵션 -m : 디렉토리를 생성할 때 권한을 ..
-
OS/Linux 2021.07.11[Linux] 리눅스 rm 명령어 사용법 & 옵션 정리 (파일, 디렉토리 삭제) rm rm의 뜻은 remove의 약자로 파일이나 디렉토리( -r 옵션시 삭제가능)를 삭제 시킬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한번 지운 파일은 복구가 어렵기 때문에 rm 명령어를 실행시키기전에 두번 세번 확인하는 습관을 가집시다. rm [옵션][삭제 할 디렉토리/파일] test.txt 삭제 ex) rm test.txt new_folder /home/user/test.txt 삭제 ex) rm /home/user/test.txt new_folder 디렉토리 삭제 ex) rm -r new_folder new_folder 디렉토리 삭제 시 삭제 확인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음 ex) rm -rf new_folder 경로를 지정하지 않으면 현 위치를 Defualt로 합니다. 비어있지 않은 디렉토리는 -r 옵션 없이는 삭제..
-
OS/Linux 2021.07.10[Linux] 리눅스 mv 명령어 사용법 & 옵션 정리 (파일 이동, 이름 바꾸기) mv mv의 뜻은 move의 줄임말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이동 시킬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mv [옵션][이동 할 파일][이동 될 위치]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test.txt 파일을 디렉토리 내부의 new_folder 디렉토리로 이동 ex) mv test.txt new_folder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test.txt 파일을 new_test.txt라는 파일로 이름 바꾸기 ex) mv test.txt new_test.txt /user/jtaewu 경로의 test.txt 파일을 /user/jtaewu 디렉토리로 이동 ex) mv test.txt /user/jtaewu/new_folder /user/jtaewu 경로 test.txt 파일을 /user/guest 디렉토리에 new.txt로 바꾸어 이동 ex) ..
-
OS/Linux 2021.07.09[Linux] 리눅스 cp 명령어 사용법 & 옵션 정리 (파일, 디렉토리 복사) cp cp의 뜻은 copy의 줄임말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복사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cp [옵션][복사 할 디렉토리/파일][복사 될 디렉토리/파일]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test.txt 파일을 new_test.txt라는 이름으로 현 위치에 복사 ex) cp test.txt new_test.txt /user/jtaewu 경로의 test.txt 파일을 new_test.txt라는 이름으로 현재 위치에 복사 ex) cp /user/jtaewu/test.txt new_test.txt /user/jtaewu 경로의 test.txt 파일을 new_test.txt라는 이름으로 /user/guest에 복사 ex) cp /user/jtaewu/test.txt /user/guest/new_test.txt cp 명령어..
-
OS/Linux 2021.07.08[Linux] 리눅스 cd 명령어 사용법 정리 (디렉토리 이동) CD의 뜻은 change directory의 줄임말로 현재 작업하고 있는 디렉토리의 위치를 이동하는 명령어 입니다. CD 명령어 뒤에 디렉토리 이동경로를 입력해주시면 해당 디렉토리로 즉시 이동합니다. 이 디렉토리 이동경로를 입력하실때는 키보드 TAB 버튼을 함께 사용하시면 어느정도 경로를 자동으로 지정해주기에 좀 더 편하게 디렉토리 이동을 하실 수 있습니다. cp [이동 할 디렉토리 경로] ex) cd / : root로 이동 ex) cd project : 현재 디렉토리 내부에 있는 project 디렉토리로 이동 ex) cd /user/jtaewu : /user/jtaewu 경로의 디렉토리로 이동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 CD 명령어에는 별도의 옵션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동할 ..
-
OS/Linux 2021.07.07[Linux] 리눅스 ls 명령어 사용법 & 옵션 정리 (디렉토리 목록 확인) ls ls의 뜻은 list의 줄임말로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에 있는 내용(디렉토리, 파일) 리스트를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ls [디렉토리] ex) ls / : root에 있는 파일 목록 출력 ex) ls /project : /project 경로의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 목록 출력 디렉토리를 지정하여 파일 목록을 출력할수도 있습니다. 옵션을 사용하지 않으면 숨김 파일은 나오지 않습니다. 디렉토리명을 생략하면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을 출력합니다. 자주 사용하는 옵션 -l : 파일들을 나열할때 자세히 출력한다. -a : 경로안의 모든 파일을 나열한다.(숨김파일도 포함) -R : 위치한 디렉토리 하부 디렉토리의 파일까지 모두 출력한다. -h : 파일크기를 해석파기 편하게 출력한다. -r : 출력 결과를..
-
OS/Linux 2021.07.06[Linux] 리눅스 현재 경로 표시 pwd 명령어 사용법 리눅스 설정에 따라 좌측에 터미널에서 현재 내가 있는 위치가 안보이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럴 때 현재 내가 있는 디렉토리의 경로를 알고 싶다면 pwd 명령어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pwd pwd의 뜻은 print working directory의 줄임말로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의 경로를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jtaewu@localhost ~]$ pwd /home/jtaewu 터미널에 pwd라는 명령어를 입력하여 내가 /home/jtaewu라는 폴더안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pwd 명령어 옵션 pwd -L : 심볼릭 링크안에 있다면 심볼릭 링크의 경로를 표시합니다. pwd -P : 심볼릭 링크 안에 있다면 심볼릭 링크가 가리키는 디렉토리 경로를 표시합니다. 심볼릭 링크(Symboli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