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085)
-
OS/Windows
2021.05.08
2
[Windows] 윈도우10 화면 창 깜빡거리는 현상 해결하기
새 노트북에 윈도우를 설치하고 사용하는데 어느 순간부터 계속 윈도우의 창들이 깜빡깜빡 거리는 현상이 발생하였습니다. 약 3초에 한 번씩 깜빡거렸는데 한번 깜빡일 때마다 커서 포커스가 튀어서 도저히 컴퓨터를 쓰기가 힘들었기에 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알아보고 문제를 해결하였습니다. 혹시나 저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분들께 조그마한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문제 해결 과정을 포스팅으로 남겨볼까 합니다. 그래픽 드라이버 업데이트 화면이 깜빡깜빡 거리는 현상들은 대부분 그래픽카드와 윈도우 운영체제 간의 호환이 잘 되지 않아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우선 장치 관리자 ->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통해 그래픽 카드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합니다. 윈도우 업데이트 그래픽 카드를 업데이트했음에도 문제가 해결되지 ..
-
OS/Windows
2021.05.06
[Windows] 윈도우10 보안 해제 방법 (Windows Defender 끄기)
윈도우10에 기본으로 탑재된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만든 백신 프로그램인 Windows Defender는 멀웨어 방지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 바이러스, 스파이웨어, 랜섬웨어와 같은 위협에서 PC를 보호해줍니다. 좋은 프로그램이지만 이러한 기능들이 가끔은 내가 다운받아야 할 파일을 받지 못하게 막는다던지, 네트워크에 장치를 연결되지 못하도록 막는다던지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Windows Defender사용을 잠시 중단하고 싶을때가 종종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Windows Defender를 잠시 끄는 방법과 영구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보안 프로그램 랭킹보기 Windows Defender 실시간 보호 잠시 해제하는 방법 1. [ Windows Key ] + [ i ]..
-
OS/Windows
2021.05.04
5
[Windows] 내 컴퓨터 PC의 성능 측정하기 (Windows10 자체 내장기능)
컴퓨터에 장착되어있는 하드웨어 장비들의 성능이 좋아도 발열 관리나 노후화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실제로는 제 성능이 안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자신의 컴퓨터의 사양이 구동하고자 하는 소프트웨어의 권장사항을 충족하고 있음에도 버벅거림과 같은 렉이 발생한다면 한번 내 PC의 성능을 테스트해보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내 PC 체험지수 측정하기 1. 작업표시줄 검색창에서 Powershell을 입력하고 Windows PowerShell을 실행시킵니다. 2. PowerShell에서 winsat formal 명령어를 입력하여 Windows 시스템 평가 도구를 실행시킵니다. 3. Windows 시스템 평가 도구를 실행시키면 위와 같이 약 1분 남짓의 시간 동안 컴퓨터가 하드웨어의 작업 실행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
OS/Windows
2021.05.03
[Windows] 내 컴퓨터 PC의 사양 확인하기 (Windows 10)
PC성능에 과분한 무거운 프로그램이나 게임을 돌릴때 소프트웨어가 버벅거리는 현상이 생깁니다. 버벅임 없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해당 소프트웨어가 요구하는 권장사양에 내 PC를 충족시켜주어야 하는데요. 이 과정에서 내 PC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 정도는 알고 있어야겠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내 Windows 10에서 내 PC의 성능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내 PC 사양 알아보기 1. [Windows Key] + [X] 버튼을 함께 누르면 좌측 하단에 위와 같은 창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시스템을 클릭해주세요. (내 PC 아이콘에 우클릭 -> 속성창을 클릭하시거나 제어판 -> 시스템으로 들어가셔도 됩니다.) 2. 그러면 위와 같이 간략한 내 PC의 사양을 확인할 수 있는..
-
OS/Windows
2021.05.01
[Windows] 내 PC의 MAC주소 확인하기 (Windows 10)
MAC주소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라고도 하며 데이터 링크 계층(2 계층)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즉, 하드웨어에 할당된 고유 식별번호 주소입니다. ex) D1-F2-FK-CC-12-34 MAC 주소(물리적 주소)는, 무선 LAN 카드 또는 무선 LAN 기능 내장 기기에 개별적으로 부여되는 16진수 12자리의 단말 식별 번호입니다. 네트워크 연동 시 종종 필요한 경우가 있어 윈도우10에서 내 PC의 MAC주소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려 합니다. CMD창에서 간단한 명령어를 통해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getmac /v 명령어를 통한 조회 1. 윈도우 + R 을 눌러 실행창을 켠 뒤 cmd를 입력하여 명령 프롬포트창에 들어갑..
-
Web/Web Programming
2021.04.30
[Network] ARP(주소 결정 프로토콜)에 대하여
ARP(주소 결정 프로토콜)이란? 주소 결정 프로토콜(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은 네트워크 상에서 IP 주소를 MAC 주소로 대응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처음 통신을 시작할 때는 상대방의 Mac Address를 모르는데 그때 상대방의 Mac Address를 알아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ARP는 요청과 응답으로 구성된 프로토콜로 라우팅 되지 않는 단일 네트워크에서만 동작하며. IP와 MAC 주소를 캡슐화하기 때문에 위의 그림과 같이 L2와 L3 사이에 있는 프로토콜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ARP 프로토콜과는 반대로 해당 MAC 주소에 맞는 IP값을 알아오는 프로토콜을 역순 주소 결정 프로토콜(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
Web/Web Programming
2021.04.16
[Network] 인터넷과 웹이 동작하는 과정과 원리에 대하여
인터넷이란? 인터넷이란 전 세계에 걸쳐 원거리 접속이나 파일 전송, 전자 메일 등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시스템이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 인터넷은 접속하는 여러 디바이스가 이 거대한 망에서 상호간의 통신을 주고받고 데이터들이 오고 가면서 상당히 복잡한 과정의 절차를 거칩니다. 즉 인터넷이란 디바이스끼리 통신을 할 수 있는 네트워크라는 개념에서 조금 더 확장된 모든 디바이스가 통신을 할 수 있는 거대한 네트워크다 라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그렇다면 각각의 디바이스끼리 어떻게 위치를 찾아가는것일까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가 사는 집에도 주소가 있듯 디바이스가 위치한 네트워크마다 고유의 주소를 지정해두었습니다. 그 주소의 이름을 바로 IP주소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
Web/Web Programming
2021.04.14
[Web] 톰캣 서버 자체 실행후 웹 프로젝트 페이지(html, jsp) 실행하기
대부분 웹 프로젝트를 할때 이클립스에서 톰캣을 연동하신 후 사용하시곤 합니다. 하지만 이클립스와 같은 IDE가 없이도 톰캣 자체적으로 서버를 올리고 웹 프로젝트의 파일들도 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톰캣 서버 올리고 내리기 1. 톰캣이 설치된 폴더의 bin으로 들어가시면 위와 같이 startup과 shutdown이라는 윈도우 배치파일이 있습니다. startup.bat을 실행하면 톰캣 서버가 올라가고 shutdown.bat을 실행시키면 톰캣 서버가 내려갑니다. 그냥 아이콘을 더블클릭하여 실행시키셔서 실행이 된다면 그냥 이렇게 켜고 끄고 하셔도 되지만 만약 되지 않는다면 로그 확인을 위해 CMD에서 실행을 시켜보는것을 추천드립니다. 2. 먼저 CMD창을 켜신 후 CD bin경로를 입력하여 Tomcat의 ..
-
ETC./IDE
2021.04.11
[IDE] 이클립스 프로젝트에 라이브러리 추가하기 +(cannot be resolved to a type 해결)
가끔가다 위와 같이 클래스에 cannot be resolved to a type이라는 오류메시지를 보신적이 있으실겁니다. 이 경우 대부분 프로젝트내에 라이브러리가 추가되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입니다. JDK내부에 있는 클래스에서 오류가 난다면 JDK가 제대로 잡히고 있지 않다는것이니 아래글을 참고하셔서 해결해주시기 바랍니다. [Jsp] cannot be resolved to a type 오류해결 이클립스 프로젝트에 라이브러리 추가하기 1. 라이브러리를 추가하고 싶은 프로젝트에 우클릭을 한 후 Properties로 들어갑니다. 2. 좌측 트리에서 Java Build Path를 클릭하고 Libraries탭에서 추가해주시면 됩니다. 프로젝트 내부(lib폴더)에 라이브러리가 존재할 경우에는 Add Jars 버튼을..
-
ETC./IDE
2021.04.10
[IDE] 이클립스(Eclipse) 프로젝트 폴더 이동 및 절대주소 확인
가끔 프로젝트의 절대주소가 필요한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하지만 여러군데에서 import한 프로젝트의 경우 프로젝트의 위치를 가끔씩 까먹을 경우가 있는데요. 오늘은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프로젝트의 절대주소를 확인하고 해당 위치로 이동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절대주소 : 로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젝트의 위치 상대주소 : 프로젝트를 실행시켰을 경우의 도메인 주소 이클립스 프로젝트 절대주소 및 저장된 폴더 이동 1. 프로젝트에 우클릭을 한뒤 Properties를 클릭합니다. 2. Resource의 Location에 프로젝트가 저장되어있는 절대주소 위치가 나타나 있습니다. 해당 폴더로 이동하고 싶다면 주소 옆에있는 이동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3. 프로젝트가 있는 폴더의 위치로 이동됩..
-
OS/Windows 2021.05.08 2[Windows] 윈도우10 화면 창 깜빡거리는 현상 해결하기 새 노트북에 윈도우를 설치하고 사용하는데 어느 순간부터 계속 윈도우의 창들이 깜빡깜빡 거리는 현상이 발생하였습니다. 약 3초에 한 번씩 깜빡거렸는데 한번 깜빡일 때마다 커서 포커스가 튀어서 도저히 컴퓨터를 쓰기가 힘들었기에 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알아보고 문제를 해결하였습니다. 혹시나 저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분들께 조그마한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문제 해결 과정을 포스팅으로 남겨볼까 합니다. 그래픽 드라이버 업데이트 화면이 깜빡깜빡 거리는 현상들은 대부분 그래픽카드와 윈도우 운영체제 간의 호환이 잘 되지 않아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우선 장치 관리자 ->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통해 그래픽 카드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합니다. 윈도우 업데이트 그래픽 카드를 업데이트했음에도 문제가 해결되지 ..
-
OS/Windows 2021.05.06[Windows] 윈도우10 보안 해제 방법 (Windows Defender 끄기) 윈도우10에 기본으로 탑재된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만든 백신 프로그램인 Windows Defender는 멀웨어 방지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 바이러스, 스파이웨어, 랜섬웨어와 같은 위협에서 PC를 보호해줍니다. 좋은 프로그램이지만 이러한 기능들이 가끔은 내가 다운받아야 할 파일을 받지 못하게 막는다던지, 네트워크에 장치를 연결되지 못하도록 막는다던지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Windows Defender사용을 잠시 중단하고 싶을때가 종종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Windows Defender를 잠시 끄는 방법과 영구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보안 프로그램 랭킹보기 Windows Defender 실시간 보호 잠시 해제하는 방법 1. [ Windows Key ] + [ i ]..
-
OS/Windows 2021.05.04 5[Windows] 내 컴퓨터 PC의 성능 측정하기 (Windows10 자체 내장기능) 컴퓨터에 장착되어있는 하드웨어 장비들의 성능이 좋아도 발열 관리나 노후화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실제로는 제 성능이 안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자신의 컴퓨터의 사양이 구동하고자 하는 소프트웨어의 권장사항을 충족하고 있음에도 버벅거림과 같은 렉이 발생한다면 한번 내 PC의 성능을 테스트해보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내 PC 체험지수 측정하기 1. 작업표시줄 검색창에서 Powershell을 입력하고 Windows PowerShell을 실행시킵니다. 2. PowerShell에서 winsat formal 명령어를 입력하여 Windows 시스템 평가 도구를 실행시킵니다. 3. Windows 시스템 평가 도구를 실행시키면 위와 같이 약 1분 남짓의 시간 동안 컴퓨터가 하드웨어의 작업 실행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
OS/Windows 2021.05.03[Windows] 내 컴퓨터 PC의 사양 확인하기 (Windows 10) PC성능에 과분한 무거운 프로그램이나 게임을 돌릴때 소프트웨어가 버벅거리는 현상이 생깁니다. 버벅임 없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해당 소프트웨어가 요구하는 권장사양에 내 PC를 충족시켜주어야 하는데요. 이 과정에서 내 PC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 정도는 알고 있어야겠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내 Windows 10에서 내 PC의 성능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내 PC 사양 알아보기 1. [Windows Key] + [X] 버튼을 함께 누르면 좌측 하단에 위와 같은 창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시스템을 클릭해주세요. (내 PC 아이콘에 우클릭 -> 속성창을 클릭하시거나 제어판 -> 시스템으로 들어가셔도 됩니다.) 2. 그러면 위와 같이 간략한 내 PC의 사양을 확인할 수 있는..
-
OS/Windows 2021.05.01[Windows] 내 PC의 MAC주소 확인하기 (Windows 10) MAC주소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라고도 하며 데이터 링크 계층(2 계층)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즉, 하드웨어에 할당된 고유 식별번호 주소입니다. ex) D1-F2-FK-CC-12-34 MAC 주소(물리적 주소)는, 무선 LAN 카드 또는 무선 LAN 기능 내장 기기에 개별적으로 부여되는 16진수 12자리의 단말 식별 번호입니다. 네트워크 연동 시 종종 필요한 경우가 있어 윈도우10에서 내 PC의 MAC주소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려 합니다. CMD창에서 간단한 명령어를 통해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getmac /v 명령어를 통한 조회 1. 윈도우 + R 을 눌러 실행창을 켠 뒤 cmd를 입력하여 명령 프롬포트창에 들어갑..
-
Web/Web Programming 2021.04.30[Network] ARP(주소 결정 프로토콜)에 대하여 ARP(주소 결정 프로토콜)이란? 주소 결정 프로토콜(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은 네트워크 상에서 IP 주소를 MAC 주소로 대응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처음 통신을 시작할 때는 상대방의 Mac Address를 모르는데 그때 상대방의 Mac Address를 알아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ARP는 요청과 응답으로 구성된 프로토콜로 라우팅 되지 않는 단일 네트워크에서만 동작하며. IP와 MAC 주소를 캡슐화하기 때문에 위의 그림과 같이 L2와 L3 사이에 있는 프로토콜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ARP 프로토콜과는 반대로 해당 MAC 주소에 맞는 IP값을 알아오는 프로토콜을 역순 주소 결정 프로토콜(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
Web/Web Programming 2021.04.16[Network] 인터넷과 웹이 동작하는 과정과 원리에 대하여 인터넷이란? 인터넷이란 전 세계에 걸쳐 원거리 접속이나 파일 전송, 전자 메일 등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시스템이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 인터넷은 접속하는 여러 디바이스가 이 거대한 망에서 상호간의 통신을 주고받고 데이터들이 오고 가면서 상당히 복잡한 과정의 절차를 거칩니다. 즉 인터넷이란 디바이스끼리 통신을 할 수 있는 네트워크라는 개념에서 조금 더 확장된 모든 디바이스가 통신을 할 수 있는 거대한 네트워크다 라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그렇다면 각각의 디바이스끼리 어떻게 위치를 찾아가는것일까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가 사는 집에도 주소가 있듯 디바이스가 위치한 네트워크마다 고유의 주소를 지정해두었습니다. 그 주소의 이름을 바로 IP주소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
Web/Web Programming 2021.04.14[Web] 톰캣 서버 자체 실행후 웹 프로젝트 페이지(html, jsp) 실행하기 대부분 웹 프로젝트를 할때 이클립스에서 톰캣을 연동하신 후 사용하시곤 합니다. 하지만 이클립스와 같은 IDE가 없이도 톰캣 자체적으로 서버를 올리고 웹 프로젝트의 파일들도 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톰캣 서버 올리고 내리기 1. 톰캣이 설치된 폴더의 bin으로 들어가시면 위와 같이 startup과 shutdown이라는 윈도우 배치파일이 있습니다. startup.bat을 실행하면 톰캣 서버가 올라가고 shutdown.bat을 실행시키면 톰캣 서버가 내려갑니다. 그냥 아이콘을 더블클릭하여 실행시키셔서 실행이 된다면 그냥 이렇게 켜고 끄고 하셔도 되지만 만약 되지 않는다면 로그 확인을 위해 CMD에서 실행을 시켜보는것을 추천드립니다. 2. 먼저 CMD창을 켜신 후 CD bin경로를 입력하여 Tomcat의 ..
-
ETC./IDE 2021.04.11[IDE] 이클립스 프로젝트에 라이브러리 추가하기 +(cannot be resolved to a type 해결) 가끔가다 위와 같이 클래스에 cannot be resolved to a type이라는 오류메시지를 보신적이 있으실겁니다. 이 경우 대부분 프로젝트내에 라이브러리가 추가되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입니다. JDK내부에 있는 클래스에서 오류가 난다면 JDK가 제대로 잡히고 있지 않다는것이니 아래글을 참고하셔서 해결해주시기 바랍니다. [Jsp] cannot be resolved to a type 오류해결 이클립스 프로젝트에 라이브러리 추가하기 1. 라이브러리를 추가하고 싶은 프로젝트에 우클릭을 한 후 Properties로 들어갑니다. 2. 좌측 트리에서 Java Build Path를 클릭하고 Libraries탭에서 추가해주시면 됩니다. 프로젝트 내부(lib폴더)에 라이브러리가 존재할 경우에는 Add Jars 버튼을..
-
ETC./IDE 2021.04.10[IDE] 이클립스(Eclipse) 프로젝트 폴더 이동 및 절대주소 확인 가끔 프로젝트의 절대주소가 필요한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하지만 여러군데에서 import한 프로젝트의 경우 프로젝트의 위치를 가끔씩 까먹을 경우가 있는데요. 오늘은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프로젝트의 절대주소를 확인하고 해당 위치로 이동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절대주소 : 로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젝트의 위치 상대주소 : 프로젝트를 실행시켰을 경우의 도메인 주소 이클립스 프로젝트 절대주소 및 저장된 폴더 이동 1. 프로젝트에 우클릭을 한뒤 Properties를 클릭합니다. 2. Resource의 Location에 프로젝트가 저장되어있는 절대주소 위치가 나타나 있습니다. 해당 폴더로 이동하고 싶다면 주소 옆에있는 이동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3. 프로젝트가 있는 폴더의 위치로 이동됩..